대전시와 시교육청이 북부교육청 신설을 위해 발 벗고 나섰다.

23일 시와 교육청에 따르면 지역학교 및 학생 인구 증가로 현재 2개뿐인 동부와 서부교육청 체제로는 양질의 교육 서비스 제공 및 행정 지원에 한계가 있어 북부교육청(가칭) 신설을 추진 중이다.

현재 대전시에는 2개 지역교육청이 150만 시민의 교육행정을 맡으면서 직원들이 업무 폭주에 따른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데다 접근성이 떨어지는 북부지역 주민은 교육민원 혜택 차원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시 관계자는 “최근 5년간 인구 및 학교 급증 등에 따른 교육행정 수요가 발생한 데다 지역 간 교육경쟁력 제고 및 인재육성을 위해 지역교육청 신설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수년 전 지역교육청 신설을 시도했던 시교육청도 올해 이 문제를 다시 꺼내 공론화에 착수했다.

교육청은 우선 지난 3월 여당 관계자를 접촉, 분위기 조성을 요청한 데 이어 최근에는 소관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와 협의에 들어갔다.

23일에도 시 교육청은 교과부를 방문, 교육청 신설 필요성을 전하고 이달 말 정식으로 건의안을 제출키로 했다.

양 기관의 직원을 파견 형식으로 근무케 하고 있는 대전시와 시 교육청도 이 문제를 주요 현안으로 분류해 공조에 들어갔다.

시는 지난 5월 박성효 시장이 장다사로 청와대 민정 비서관과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지역현안과 함께 지역교육청 신설을 건의했다. 시는 조만간 소관부처인 교과부를 방문해 다시 한 번 이 문제를 건의하는 한편, 지역 국회의원들에게도 지역현안으로 공동협력을 요청할 계획이다.

신설을 추진 중인 북부교육청은 유성구와 대덕구(인구 48만 명, 학생 수 9만 2000명)를 담당하게 된다. 하지만, 현행 지방교육행정기관 기구정원 규정인 기준(인구 50만 명, 학생 수 7만 명) 중 인구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데다 지방행정기구 개편 문제가 걸려 있어 추진에 어려움도 예상된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교과부에서는 긍정적이지만 행정기구 개편에 따른 기존 지역교육청 통폐합 문제가 걸려 있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시가 상으로는 안 좋지만, 당위성이 충분한 만큼 시와 협조해 의지를 가지고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남희 기자 nhhan@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