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와 강풍이 휩쓸고 간 대전·충청지역 농촌에서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농가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이번 집중호우 피해 농가 가운데 보험에 가입한 농가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지만 대다수의 미가입 농가들은 발만 동동 구르는 상황이다.

그러나 보험에 가입한 농가는 대전이 68농가, 충남은 1995농가로 전체 대상 농가의 1/5 미만에 불과하다.

농작물 재해보험은 천재지변으로 발생하는 농작물 피해를 보상해주기 위해 지난 2001년 생겼지만, 농가의 무관심과 대상 품목의 한정 등으로 아직까지 활성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충남지역은 지난 5년 동안 큰 자연재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률도 10% 초반대까지 낮아졌다가 올 들어 충남도와 각 시·군이 각각 10%의 보험료를 지원하면서 가입률이 전체 대상 농가의 17.5%까지 상승했다.

이는 전남(26%), 경북(23%), 경남(22%) 등 매년 천재지변을 겪는 지역의 가입률보다 훨씬 낮은 수치다.

최근 들어 농협 대전·충남본부에는 이번 집중호우와 돌풍으로 지역농가들이 적지 않은 피해를 입으면서 복구지원 요청과 함께 농작물 재해보험에 대한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농협 관계자는 “올해는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기간이 종료됐는 데도 매일 보장 내용과 가입절차 등을 상담하려는 농민전화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문제는 아직까지 농작물 재해보험 대상 품목이 사과, 배, 포도, 감, 복숭아 등 7개 과수에 한정돼 있다는 것.

농민들의 보험대상 확대 요구가 갈수록 거세지면서 농협도 올해부터 벼와 시설 수박, 고추, 마늘, 감자 등 13개 시범사업 종목을 시행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조기 해결은 어려울 전망이다.

농작물 품목별로 재해 특성과 피해 정도에 따른 기준을 정립하는 데 많은 시간과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