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시장 살리기 일환으로 전국에서 사용 가능한 온누리상품권이 발행된 가운데 21일 대전시 서구 도마1동 새마을 금고를 찾은 시민이 상품권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홍성후 기자 hippo@cctoday.co.kr
전국 600여 개 전통시장에서 통용 가능한 온누리상품권이 ‘빛 좋은 개살구’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정부가 지난 20일부터 전국상인연합회 등과 손잡고 의욕적으로 온누리상품권을 발행했으나 현장에선 그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온누리상품권에 대한 상인·시민의 낮은 인식과 사용처 제한으로 상품 선택권이 제약받으면서 수요처와 소비자 모두에게 외면받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중소기업청 시장개선과와 온누리상품권 가맹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 가맹 전통시장은 전국 614곳으로 전국 전통시장(1550여 개)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대전은 29곳의 전통시장 가운데 23곳이 가맹점으로 등록돼 있다.

하지만 아직 상인을 대상으로 한 홍보와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품권이 발행돼 혼란이 예상된다.

특히 상품권 종류가 늘면서 상인들의 환전 부담도 늘었다. 통용되고 있는 3개의 상품권이 각각 회수 및 판매처가 다르기 때문이다.

중구 소재 A전통시장 상인회장은 “희망근로상품권의 경우 하나은행에서 처리하는데 온누리상품권은 새마을금고에서 환전해야 한다”며 “드물게 들어오는 상품권을 환전하기 위해 특정 금융기관만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전통시장 관계자들은 온누리상품권이 ‘기존 상품권과 차별화할 만한 혜택이 거의 없다’고 설명한다. 실제 온누리상품권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전통시장상품권’ ‘희망근로상품권’과 별반 다를 바가 없다. 중소기업청이 내세운 전국통용 가능으로 선물용 등 구매력을 높여 판매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장점’은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못 된다는 것이 상인들의 입장이다.

가맹점으로 가입한 일부 상인들도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동구 소재 B전통시장 상인회장은 “상품권을 받고 판매하는 금액은 미미한 수준으로 온누리상품권이라고 해서 사용이 늘어날 것 같지 않다”며 “전통시장을 살리자는 취지는 좋지만 상인들도 헷갈려 하는 상품권을 일반 소비자가 어떻게 사용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소비자들 역시 ‘온누리상품권 출시에 대해 처음 듣는다’는 반응이다. 주부 신 모(38) 씨는 “온누리상품권 출시는 처음 듣는 이야기로 전통시장 상품권만 3종류라고 하는데 뭐가 어떻게 다른지 모르겠다”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구입이 쉽고 사용처가 다양해야 관심을 가진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전상인연합회 관계자는 “상품권 판매와 가맹점 유치 등의 홍보가 부족했던 것은 사실”이라며 “적극적인 홍보활동으로 가맹점을 넓힐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

온누리상품권이란= ‘온누리상품권’은 대형 유통업체의 급증과 경기불황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중소기업청과 전국상인연합회, 새마을금고 등이 손을 잡고 탄생시킨 전국유통망을 가진 상품권이다.

이 상품권은 지난 20일부터 전국 새마을금고에서 소액상품권(5000원 권과 1만 원권) 2종과 선물용 세트 3종(3·5·10만 원권), 상품권책 1종(10만 원권)이 판매 중이다. 온누리상품권은 올해 약 100억 원, 130만 매 규모로 발행됐다. 1만 원권에는 탈, 5000원권에는 뻥튀기 그림을 넣어 우리 전통의 정취를 담은 것이 특징이다.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