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오 국회의장은 21일 미디어법 등 쟁점법안 처리를 둘러싼 국회 파행과 관련 “임시국회가 이번주에 끝난다”며 “여야 원내교섭단체들은 내일부터 금주까지 의사일정을 합의해 달라”고 말했다.
김 의장의 이 같은 언급은 여야 간 협상이 결렬될 경우 직권상정을 하겠다는 의사로 해석되고 있어 쟁점법안을 둘러싼 여야 간 충돌이 목전에 와있는 분위기다.
특히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미디어법과 관련 신문과 대기업의 지상파 진출 및 종합편성채널 지분 허용 한도를 놓고 여전히 접점을 찾지못하고 있어 직권상정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양당 원내대표는 이날 비공개 담판을 재개, 일괄 타결을 시도했지만 신문사와 대기업의 지상파 진출 및 종합편성채널 지분 허용 한도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한나라당은 이에 따라 22일부터 직권상정 수순에 본격 돌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민주당은 의원직 사퇴를 내걸고 배수진을 치고 있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오는 2012년까지 지상파의 소유와 경영에 대기업과 신문의 참여를 유보하는 방안을 민주당에 제안했다”며 “민주당이 이 제안도 거부하면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민주당을 압박했다.
안 원내대표는 특히 “민주당은 지상파든 종합편성채널이든 보도전문채널이든 신문이 참여하는 것은 반대라고 고집을 피웠다”며 “민주당에 협상의지가 별로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고, 우리는 오늘 이후까지는 더 기다릴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소속 의원 전원의 의원직 사퇴를 내세워 한나라당의 입장 변화를 촉구했다.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쟁점의 핵심은 한나라당이 뭐라고 포장, 변명해도 결국 특정 언론사의 방송진출 여부”라며 “우리가 100보를 양보, 진전된 안을 만들고 큰 결단을 해서 협상장에 나갔으나 한나라당이 언론악법에 대한 검은 의도와 기본적 생각을 안바꾸고 있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우제창 원내대변인은 “한나라당이 언론악법을 직권상정을 통해 강행처리할 경우 소속의원 전원인 84명이 의원직 사퇴를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나라당은 오는 24일까지 본회의를 소집해 놓은 상태여서 23일 직권상정을 시도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김 의장의 이 같은 언급은 여야 간 협상이 결렬될 경우 직권상정을 하겠다는 의사로 해석되고 있어 쟁점법안을 둘러싼 여야 간 충돌이 목전에 와있는 분위기다.
특히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미디어법과 관련 신문과 대기업의 지상파 진출 및 종합편성채널 지분 허용 한도를 놓고 여전히 접점을 찾지못하고 있어 직권상정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양당 원내대표는 이날 비공개 담판을 재개, 일괄 타결을 시도했지만 신문사와 대기업의 지상파 진출 및 종합편성채널 지분 허용 한도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한나라당은 이에 따라 22일부터 직권상정 수순에 본격 돌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민주당은 의원직 사퇴를 내걸고 배수진을 치고 있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오는 2012년까지 지상파의 소유와 경영에 대기업과 신문의 참여를 유보하는 방안을 민주당에 제안했다”며 “민주당이 이 제안도 거부하면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민주당을 압박했다.
안 원내대표는 특히 “민주당은 지상파든 종합편성채널이든 보도전문채널이든 신문이 참여하는 것은 반대라고 고집을 피웠다”며 “민주당에 협상의지가 별로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고, 우리는 오늘 이후까지는 더 기다릴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소속 의원 전원의 의원직 사퇴를 내세워 한나라당의 입장 변화를 촉구했다.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쟁점의 핵심은 한나라당이 뭐라고 포장, 변명해도 결국 특정 언론사의 방송진출 여부”라며 “우리가 100보를 양보, 진전된 안을 만들고 큰 결단을 해서 협상장에 나갔으나 한나라당이 언론악법에 대한 검은 의도와 기본적 생각을 안바꾸고 있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우제창 원내대변인은 “한나라당이 언론악법을 직권상정을 통해 강행처리할 경우 소속의원 전원인 84명이 의원직 사퇴를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나라당은 오는 24일까지 본회의를 소집해 놓은 상태여서 23일 직권상정을 시도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