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인플루엔자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국가전염병 위기단계가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 조정됐다.
또 기존 ‘봉쇄와 차단’ 위주의 방역정책에서 조기치료 중심으로 대응방식도 전환된다.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는 21일 관계부처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위기평가협의회를 열고 국가전염병 위기단계를 격상했다.
이는 방학철과 여름휴가로 환자 발생이 급증하고 각급 학교를 중심으로 집단발병 사례가 이어지면서 지역사회로 빠르게 확산돼 대유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복지부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와 별도로 각 시·도, 시·군·구별로 인플루엔자대책본부를 구성, 운영해 24시간 비상대응방역체계를 가동한다.
또 각 시·도별로 지정한 치료거점병원 533곳에 항바이러스제와 ‘N-95마스크’ 등 개인보호장구를 지원하고 환자진료체계를 정비해 병원내 감염 예방대책도 마련키로 했다.
아울러 확진 환자는 격리치료를 원칙으로 하되 증상이나 전염기간 등을 고려해 외래치료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환자가 대량 발생하면 천식과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와 임신부 등 고위험군과 폐렴 등 합병증 동반 환자 외에는 외래치료로 전환된다는 뜻이다.
정부는 감시 체계 강화를 위해 현행 ‘인구 10만 명당 1개’ 기준으로 운영되는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의료기관이 광역시 위주로 ‘인구 5만 명당 1개’로 조정돼 전국 678곳에서 826곳으로 늘어난다.
또 초·중등 학교에서 집단감염을 방지키 위해 방학기간 중 ‘방과후학교’ 운영을 자제하고 환자 발생시 중지 조치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공항 검역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입국자 추적조사 대상국가를 미국과 호주, 필리핀 등 11개 고위험 발생국으로 축소하고, 내국인에 대한 전화추적조사 횟수도 2회에서 1회로 줄이기로 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신종인플루엔자 백신을 조기에 확보해 오는 11월 이후 백신 접종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또 기존 ‘봉쇄와 차단’ 위주의 방역정책에서 조기치료 중심으로 대응방식도 전환된다.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는 21일 관계부처 및 전문가가 참여하는 위기평가협의회를 열고 국가전염병 위기단계를 격상했다.
이는 방학철과 여름휴가로 환자 발생이 급증하고 각급 학교를 중심으로 집단발병 사례가 이어지면서 지역사회로 빠르게 확산돼 대유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복지부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와 별도로 각 시·도, 시·군·구별로 인플루엔자대책본부를 구성, 운영해 24시간 비상대응방역체계를 가동한다.
또 각 시·도별로 지정한 치료거점병원 533곳에 항바이러스제와 ‘N-95마스크’ 등 개인보호장구를 지원하고 환자진료체계를 정비해 병원내 감염 예방대책도 마련키로 했다.
아울러 확진 환자는 격리치료를 원칙으로 하되 증상이나 전염기간 등을 고려해 외래치료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환자가 대량 발생하면 천식과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와 임신부 등 고위험군과 폐렴 등 합병증 동반 환자 외에는 외래치료로 전환된다는 뜻이다.
정부는 감시 체계 강화를 위해 현행 ‘인구 10만 명당 1개’ 기준으로 운영되는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의료기관이 광역시 위주로 ‘인구 5만 명당 1개’로 조정돼 전국 678곳에서 826곳으로 늘어난다.
또 초·중등 학교에서 집단감염을 방지키 위해 방학기간 중 ‘방과후학교’ 운영을 자제하고 환자 발생시 중지 조치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공항 검역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입국자 추적조사 대상국가를 미국과 호주, 필리핀 등 11개 고위험 발생국으로 축소하고, 내국인에 대한 전화추적조사 횟수도 2회에서 1회로 줄이기로 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신종인플루엔자 백신을 조기에 확보해 오는 11월 이후 백신 접종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