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2018년까지 7700만㎡의 산업용지를 공급한다.
도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10년마다 수립하는 산업용지공급 종합계획을 확정, 20일 고시할 예정이다.
도가 마련한 산업용지 공급계획은 도내 시·군 간 균형발전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에 초점이 맞춰졌다.
대전~당진, 공주~서천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여건 변화에 부응해 권역별로 특성화 된 입지수요를 담보한다는 복안이다.
우선 북부권(천안·아산·서산·당진)은 자동차·전자정보(new IT)·석유화학·신재생에너지 등 첨단산업 유치를 목표로 모두 3907만㎡ 규모의 산단이 공급되고 서해안권(태안·보령·서천)엔 자동차·메카트로닉스·조선 등 외투기업 유치를 위해 902만㎡의 산단이 조성된다.
또 내륙권(공주·계룡·연기·홍성·예산·청양)에는 농축산바이오·첨단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1606만㎡ 규모의 산단이 마련되고 금강권(논산·금산·부여)엔 문화콘텐츠·인삼약초·군수산업 등 지역별 특화산업과 접목된 1285만㎡ 규모의 산단이 조성될 예정이다.
도의 계획대로 산단 공급이 이뤄지면 북부권 이외 지역이 차지하는 산단 입지 비율이 현행 35%에서 49.3%로 증가해 도내 지역균형발전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발전연구원은 충남도의 산단공급계획 추진에 따라 11조 5648억 원의 투자를 통해 22조 7275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1조 5648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34만 6000여 명의 고용유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6월 말 현재 충남도엔 국가산단 5개소(2716만㎡), 일반산단 37개소(5473만㎡), 농공단지 81개소(1254만㎡), 개별산단 2개소(903만㎡) 등 모두 125개 산단(1억 346만㎡)이 운용되고 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도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10년마다 수립하는 산업용지공급 종합계획을 확정, 20일 고시할 예정이다.
도가 마련한 산업용지 공급계획은 도내 시·군 간 균형발전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에 초점이 맞춰졌다.
대전~당진, 공주~서천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여건 변화에 부응해 권역별로 특성화 된 입지수요를 담보한다는 복안이다.
우선 북부권(천안·아산·서산·당진)은 자동차·전자정보(new IT)·석유화학·신재생에너지 등 첨단산업 유치를 목표로 모두 3907만㎡ 규모의 산단이 공급되고 서해안권(태안·보령·서천)엔 자동차·메카트로닉스·조선 등 외투기업 유치를 위해 902만㎡의 산단이 조성된다.
또 내륙권(공주·계룡·연기·홍성·예산·청양)에는 농축산바이오·첨단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1606만㎡ 규모의 산단이 마련되고 금강권(논산·금산·부여)엔 문화콘텐츠·인삼약초·군수산업 등 지역별 특화산업과 접목된 1285만㎡ 규모의 산단이 조성될 예정이다.
도의 계획대로 산단 공급이 이뤄지면 북부권 이외 지역이 차지하는 산단 입지 비율이 현행 35%에서 49.3%로 증가해 도내 지역균형발전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발전연구원은 충남도의 산단공급계획 추진에 따라 11조 5648억 원의 투자를 통해 22조 7275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1조 5648억 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34만 6000여 명의 고용유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6월 말 현재 충남도엔 국가산단 5개소(2716만㎡), 일반산단 37개소(5473만㎡), 농공단지 81개소(1254만㎡), 개별산단 2개소(903만㎡) 등 모두 125개 산단(1억 346만㎡)이 운용되고 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