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민주당이 미디어법과 비정규직법 등 쟁점법안 처리를 둘러싸고 태풍전야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9일 이들 쟁점법안 처리를 위한 직권상정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은 친박연대와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창조한국당 등과 공조를 강화하며 한나라당의 강행처리 저지에 나서고 있다.
특히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이날 한나라당의 미디어법 강행처리 움직임과 관련, 국회 당 대표실에서 무기한 단식 농성에 돌입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에게 영수회담을 갖자고 전격 제의했다.
제1야당 대표의 단식 농성은 지난 2003년 당시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가 노무현 대통령이 측근비리의혹 특검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 데 반발, 열흘간 단식을 감행한 이후 처음이다.
앞서,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20일 반드시 표결처리 할 수 있도록 국회의장에게 직권상정을 건의했다”며 “우리의 각오는 미디어법 등을 통과시키지 않고서는 본회의장에서 나오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자유선진당을 제외한 야4당과 행보를 같이하며, 한나라당의 직권상정 움직임에 총력 대응하고 있다.
민주당은 또 막판까지 협상카드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김 의장의 직권상정을 저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수적 우세를 앞세워 밀어붙일 경우에 대비해 본회의장에 대한 방어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한편, 민주당 정세균 대표가 단식 농성에 돌입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의 수락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 대통령이 정 대표의 제의를 수락하면 지난해 9월 25일 청와대 오찬 회동 후 10개월 만에 영수회담이 열리게 된다.
정 대표는 이날 오후 6시 기자회견을 갖고 "영수회담을 제안하면서 비장한 심정으로 단식에 돌입한다"며 "'재벌 방송', '족벌 방송'은 안 된다는 국민 뜻을 받들어 170석 거대 여당의 횡포를 막기 위한 최후의 선택"이라고 밝혔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직권상정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낼 때까지 단식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19일 이들 쟁점법안 처리를 위한 직권상정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은 친박연대와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창조한국당 등과 공조를 강화하며 한나라당의 강행처리 저지에 나서고 있다.
특히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이날 한나라당의 미디어법 강행처리 움직임과 관련, 국회 당 대표실에서 무기한 단식 농성에 돌입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에게 영수회담을 갖자고 전격 제의했다.
제1야당 대표의 단식 농성은 지난 2003년 당시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가 노무현 대통령이 측근비리의혹 특검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 데 반발, 열흘간 단식을 감행한 이후 처음이다.
앞서,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20일 반드시 표결처리 할 수 있도록 국회의장에게 직권상정을 건의했다”며 “우리의 각오는 미디어법 등을 통과시키지 않고서는 본회의장에서 나오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자유선진당을 제외한 야4당과 행보를 같이하며, 한나라당의 직권상정 움직임에 총력 대응하고 있다.
민주당은 또 막판까지 협상카드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김 의장의 직권상정을 저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수적 우세를 앞세워 밀어붙일 경우에 대비해 본회의장에 대한 방어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한편, 민주당 정세균 대표가 단식 농성에 돌입하면서 이명박 대통령의 수락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 대통령이 정 대표의 제의를 수락하면 지난해 9월 25일 청와대 오찬 회동 후 10개월 만에 영수회담이 열리게 된다.
정 대표는 이날 오후 6시 기자회견을 갖고 "영수회담을 제안하면서 비장한 심정으로 단식에 돌입한다"며 "'재벌 방송', '족벌 방송'은 안 된다는 국민 뜻을 받들어 170석 거대 여당의 횡포를 막기 위한 최후의 선택"이라고 밝혔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직권상정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낼 때까지 단식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