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유를 취급하는 민간주유소에서 농민들의 면세유 직불카드를 부정 사용하고 있다는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농민 A(대전시 유성구) 씨는 최근 농협에 들렀다가 자신의 면세유 사용 내역을 보던 중 농사일을 하지 않던 올 1월에 휘발유 20ℓ를 사용한 기록을 발견하고도 주유소 측에 항의 한마디 하지 못했다.
기억 외에는 마땅한 증거도 없는 데다 이번 일로 자칫 배달마저 거부당할 걱정이 앞섰기 때문이다.
K 씨는 “민간주유소는 면세유를 파는 것이 대단한 유세마냥 두 드럼(400ℓ)도 와서 가져가라고 배짱을 무리는 마당에 20ℓ가지고 시시비비를 따지기 어렵다”며 “이마저도 면세유 사용이 적은 소농에게는 꿈 같은 얘기”라고 토로했다.
문제의 발단은 이들 주유소가 면세유의 선 결제 후 공급을 이유로 농민들의 면세유 직불카드를 연중 보관하고 있는 것에서 비롯된다.
대부분의 농민들은 농업 현장에서 일을 하다가 농기계의 연료가 부족할 경우 카드를 소지하고 주유소를 찾아가 결제를 하고 필요한 기름을 구매하거나 배달을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면세유 카드를 주유소에 맡기고 있다.
이를 이용해 일부 비양심 주유소들은 농민들의 면세유 카드로 기름을 소량씩 부정 유출한다는 것.
그러나 자신의 면세유 사용 내역을 수시로 확인하기 어려운 농민들은 몇 달이 지난 후에야 사실을 알게 되고 심증에 그치게 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 이의를 제기했다가 배달거부 등의 불이익을 받을지 몰라 모르는 척 넘어갈 수 밖에 없다는 농민들의 전언이다.
특히 이 같은 의혹은 농협 직영주유소가 적은 도시지역에서 빈번하게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주유소는 각 지역농협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후불 외상거래와 소량 배달 등 농민 편의를 위해 기능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농협 주유소가 70여 곳에 달하는 충남지역과 달리 대전에는 기성농협 한 곳 뿐이어서 대단위 비닐하우스와 과수원, 전답 등이 포진한 대전 서북부지역 농민들은 사실상 이용이 불가능하다.
농협주유소는 토지 구입비와 시설투자비 등으로 수 십억 원이 소요되는 데다 도심지역 특성상 민간주유소와의 경쟁에서도 살아남아야 하기 때문에 대전의 지역농협에서 섣불리 뛰어 들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농협 관계자는 “민간주유소라도 농업용 면세유 직불카드에 관련해 카드사와 후불약정을 체결하면 농민들이 농협주유소처럼 편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아쉬울 것 없는 주유소 측에서 이를 외면하는 상황”이라며 “비양심 주유소의 횡포에도 벙어리 냉가슴 앓고 있는 농민들을 위해 대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농민 A(대전시 유성구) 씨는 최근 농협에 들렀다가 자신의 면세유 사용 내역을 보던 중 농사일을 하지 않던 올 1월에 휘발유 20ℓ를 사용한 기록을 발견하고도 주유소 측에 항의 한마디 하지 못했다.
기억 외에는 마땅한 증거도 없는 데다 이번 일로 자칫 배달마저 거부당할 걱정이 앞섰기 때문이다.
K 씨는 “민간주유소는 면세유를 파는 것이 대단한 유세마냥 두 드럼(400ℓ)도 와서 가져가라고 배짱을 무리는 마당에 20ℓ가지고 시시비비를 따지기 어렵다”며 “이마저도 면세유 사용이 적은 소농에게는 꿈 같은 얘기”라고 토로했다.
문제의 발단은 이들 주유소가 면세유의 선 결제 후 공급을 이유로 농민들의 면세유 직불카드를 연중 보관하고 있는 것에서 비롯된다.
대부분의 농민들은 농업 현장에서 일을 하다가 농기계의 연료가 부족할 경우 카드를 소지하고 주유소를 찾아가 결제를 하고 필요한 기름을 구매하거나 배달을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면세유 카드를 주유소에 맡기고 있다.
이를 이용해 일부 비양심 주유소들은 농민들의 면세유 카드로 기름을 소량씩 부정 유출한다는 것.
그러나 자신의 면세유 사용 내역을 수시로 확인하기 어려운 농민들은 몇 달이 지난 후에야 사실을 알게 되고 심증에 그치게 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 이의를 제기했다가 배달거부 등의 불이익을 받을지 몰라 모르는 척 넘어갈 수 밖에 없다는 농민들의 전언이다.
특히 이 같은 의혹은 농협 직영주유소가 적은 도시지역에서 빈번하게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주유소는 각 지역농협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후불 외상거래와 소량 배달 등 농민 편의를 위해 기능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농협 주유소가 70여 곳에 달하는 충남지역과 달리 대전에는 기성농협 한 곳 뿐이어서 대단위 비닐하우스와 과수원, 전답 등이 포진한 대전 서북부지역 농민들은 사실상 이용이 불가능하다.
농협주유소는 토지 구입비와 시설투자비 등으로 수 십억 원이 소요되는 데다 도심지역 특성상 민간주유소와의 경쟁에서도 살아남아야 하기 때문에 대전의 지역농협에서 섣불리 뛰어 들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농협 관계자는 “민간주유소라도 농업용 면세유 직불카드에 관련해 카드사와 후불약정을 체결하면 농민들이 농협주유소처럼 편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아쉬울 것 없는 주유소 측에서 이를 외면하는 상황”이라며 “비양심 주유소의 횡포에도 벙어리 냉가슴 앓고 있는 농민들을 위해 대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