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광역개발권에 내륙벨트의 추가 지정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내륙첨단산업벨트의 추진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는 16일 민간 위촉위원이 참여한 가운데 전체 회의를 열고, 4대 대외개방형 벨트의 개발 방향 및 ‘내륙특화벨트’의 추진 방향 등을 담은 초광역개발권 중간 시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2면
이 안에 따르면 기존 4대 벨트는 대외개방형 미래성장축으로 육성하고, 내륙특화벨트도 지자체들이 구상안을 제출하면 지역발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키로 했다.
이에 정부는 8월 중 내륙특화벨트 설정기준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각 지자체들이 구상안을 마련해 지역발전위원회에 제안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해 추가 지정되는 내륙특화벨트의 근거법을 마련하기로 했다.
‘동서남해안발전특별법’을 (가칭)‘동서남해안 및 내륙발전 특별법’으로 개정해 내륙특화벨트의 실행력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충북·충남·대전·강원·전북 등이 공동 추진하는 내륙벨트의 추가 지정이 결정되면서 ‘내륙첨단산업벨트’ 추진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5개 시·도가 공동 추진하는 내륙첨단산업벨트의 공동개발 구상안은 마무리됐고, 대전과 강원 등 2개 시·도지사의 서명만을 남겨둔 상태다.
공동 추진팀은 서명을 완료한 뒤 오는 21일 국토해양부와 지역발전위원회 등에 공동개발 구상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이는 이날 지역발전위원회가 제시한 구상안 제출 기한보다 빨라 내륙벨트의 추가 지정 및 내륙첨단산업벨트로의 추진이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5개 시·도가 추진하는 내륙첨단산업벨트의 공간적 범위는 동해안의 강원 강릉부터 충북·충남·대전 등 중부내륙을 거쳐 서해안의 전북 정읍까지 정해졌고, 28개 기초자치단체가 포함됐다.
비전은 ‘녹색기반 내륙첨단산업의 동북아 허브’로 정해졌고, 첨단산업 간 연계 육성 방안도 마련됐다.
각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하면 강릉 의료관광, 원주 의료기기, 제천 한방바이오, 충주 첨단기업도시, 오송·오창 BT·IT·NT, 증평 태양광(신재생에너지) 등이 포함됐다.
또 공주 행정도시, 대전·대덕 R&D 특구, 논산 국방과학클러스터, 전주 방사능융복합산업, 정읍 첨단자동차부품산업 등도 내륙벨트의 한 축을 맡게 됐다.
내륙첨단산업벨트가 초광역개발권으로 본격 추진되면 BINT 첨단산업, 태양광 등 녹색성장 산업 등이 부상하는 시대적 추세에 맞춰 새로운 패러다임의 국가 신성장동력 축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관계자는 “정부가 기존 4대 벨트에 내륙벨트를 추가 지정하기로 한 것이 분명해졌다”며 “다만 내륙벨트를 내륙첨단산업벨트로 육성하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딛은 만큼 이를 관철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는 16일 민간 위촉위원이 참여한 가운데 전체 회의를 열고, 4대 대외개방형 벨트의 개발 방향 및 ‘내륙특화벨트’의 추진 방향 등을 담은 초광역개발권 중간 시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2면
이 안에 따르면 기존 4대 벨트는 대외개방형 미래성장축으로 육성하고, 내륙특화벨트도 지자체들이 구상안을 제출하면 지역발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키로 했다.
이에 정부는 8월 중 내륙특화벨트 설정기준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각 지자체들이 구상안을 마련해 지역발전위원회에 제안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해 추가 지정되는 내륙특화벨트의 근거법을 마련하기로 했다.
‘동서남해안발전특별법’을 (가칭)‘동서남해안 및 내륙발전 특별법’으로 개정해 내륙특화벨트의 실행력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충북·충남·대전·강원·전북 등이 공동 추진하는 내륙벨트의 추가 지정이 결정되면서 ‘내륙첨단산업벨트’ 추진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5개 시·도가 공동 추진하는 내륙첨단산업벨트의 공동개발 구상안은 마무리됐고, 대전과 강원 등 2개 시·도지사의 서명만을 남겨둔 상태다.
공동 추진팀은 서명을 완료한 뒤 오는 21일 국토해양부와 지역발전위원회 등에 공동개발 구상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이는 이날 지역발전위원회가 제시한 구상안 제출 기한보다 빨라 내륙벨트의 추가 지정 및 내륙첨단산업벨트로의 추진이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5개 시·도가 추진하는 내륙첨단산업벨트의 공간적 범위는 동해안의 강원 강릉부터 충북·충남·대전 등 중부내륙을 거쳐 서해안의 전북 정읍까지 정해졌고, 28개 기초자치단체가 포함됐다.
비전은 ‘녹색기반 내륙첨단산업의 동북아 허브’로 정해졌고, 첨단산업 간 연계 육성 방안도 마련됐다.
각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하면 강릉 의료관광, 원주 의료기기, 제천 한방바이오, 충주 첨단기업도시, 오송·오창 BT·IT·NT, 증평 태양광(신재생에너지) 등이 포함됐다.
또 공주 행정도시, 대전·대덕 R&D 특구, 논산 국방과학클러스터, 전주 방사능융복합산업, 정읍 첨단자동차부품산업 등도 내륙벨트의 한 축을 맡게 됐다.
내륙첨단산업벨트가 초광역개발권으로 본격 추진되면 BINT 첨단산업, 태양광 등 녹색성장 산업 등이 부상하는 시대적 추세에 맞춰 새로운 패러다임의 국가 신성장동력 축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관계자는 “정부가 기존 4대 벨트에 내륙벨트를 추가 지정하기로 한 것이 분명해졌다”며 “다만 내륙벨트를 내륙첨단산업벨트로 육성하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딛은 만큼 이를 관철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