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구를 중심으로 대전지역 경찰지구대와 파출소의 관할 인구 및 면적 불균형을 개선해야 한다는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경찰 방범망의 효율성 부재 문제는 대전 전역에서 제기되고 있지만 유독 유성지역에서 극심하게 제기되고 있다.
대전지역에는 모두 18개 지구대와 1개 파출소 등 모두 19개의 방범망이 구축돼 있다.
이중 1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관할하는 지구대는 △둔산(14만 7000명) △도룡(12만 5000명) △송촌(11만 3000명) △갈마(10만 5000명) △서대전(10만 5000명) 등 5곳이지만 5만 명 이하 인구를 관할하는 지구대도 △중앙로(4만 1000명) △남대전(4만 3000명) △신탄진(4만 8000명) 등 3곳에 달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룡지구대 관할지역인 대덕테크노밸리(관평·용산·탑립동 일원) 주민들이 수년째 지구대 신설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대덕테크노밸리 주민들은 관내 인구가 4만 명에 육박해 경찰서가 설치돼 있는 청양군을 넘어서는 수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지만 치안대책이 전무하다는 논리를 앞세워 지방경찰청과 관할 경찰서에 지구대 신설을 꾸준히 건의하고 있다.
주민들은 관내 인구가 지속 증가하고 있고, 식당과 주점 등 업소가 꾸준히 증가하며 치안수요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유성지구대 관할인 진잠·교촌지역도 파출소 신설 민원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해당지역 주민들은 유성에서 거리상 이격돼 있을 뿐 아니라 생활권역도 달라 별도의 파출소 신설이 절실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전 유일의 파출소가 설치돼 있는 노은지역은 파출소를 지구대로 승격시켜 달라는 민원이 접수되고 있다.
이미 관할 인구 수가 타 지구대 관할 인구 수준에 이른 데다 도시팽창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도 각 지역에서 제기되는 민원에 전반적으로 수긍하는 분위기다.
다만 예산이 수반되는 문제여서 섣불리 명쾌한 답변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일부 지역의 지구대 및 파출소 신설 필요성이 있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신축비용과 더불어 50여 명의 인력과 2~3대의 순찰차가 상시 배치돼야 한다는 점은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며 "경찰 내부에서는 유성경찰서 신설이 꾸준히 거론되고 있는 만큼 이 문제와 연결시켜 고려해야 할 사안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라고 말했다.
김도운 기자 ojae@cctoday.co.kr
경찰 방범망의 효율성 부재 문제는 대전 전역에서 제기되고 있지만 유독 유성지역에서 극심하게 제기되고 있다.
대전지역에는 모두 18개 지구대와 1개 파출소 등 모두 19개의 방범망이 구축돼 있다.
이중 10만 명 이상의 인구를 관할하는 지구대는 △둔산(14만 7000명) △도룡(12만 5000명) △송촌(11만 3000명) △갈마(10만 5000명) △서대전(10만 5000명) 등 5곳이지만 5만 명 이하 인구를 관할하는 지구대도 △중앙로(4만 1000명) △남대전(4만 3000명) △신탄진(4만 8000명) 등 3곳에 달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룡지구대 관할지역인 대덕테크노밸리(관평·용산·탑립동 일원) 주민들이 수년째 지구대 신설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대덕테크노밸리 주민들은 관내 인구가 4만 명에 육박해 경찰서가 설치돼 있는 청양군을 넘어서는 수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지만 치안대책이 전무하다는 논리를 앞세워 지방경찰청과 관할 경찰서에 지구대 신설을 꾸준히 건의하고 있다.
주민들은 관내 인구가 지속 증가하고 있고, 식당과 주점 등 업소가 꾸준히 증가하며 치안수요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유성지구대 관할인 진잠·교촌지역도 파출소 신설 민원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해당지역 주민들은 유성에서 거리상 이격돼 있을 뿐 아니라 생활권역도 달라 별도의 파출소 신설이 절실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전 유일의 파출소가 설치돼 있는 노은지역은 파출소를 지구대로 승격시켜 달라는 민원이 접수되고 있다.
이미 관할 인구 수가 타 지구대 관할 인구 수준에 이른 데다 도시팽창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도 각 지역에서 제기되는 민원에 전반적으로 수긍하는 분위기다.
다만 예산이 수반되는 문제여서 섣불리 명쾌한 답변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일부 지역의 지구대 및 파출소 신설 필요성이 있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신축비용과 더불어 50여 명의 인력과 2~3대의 순찰차가 상시 배치돼야 한다는 점은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며 "경찰 내부에서는 유성경찰서 신설이 꾸준히 거론되고 있는 만큼 이 문제와 연결시켜 고려해야 할 사안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라고 말했다.
김도운 기자 oja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