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지역 중소·벤처기업들이 벼랑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최근 자금유동성 불투명, 비정규직법으로 인한 생산라인 축소 등 각종 악재가 겹친 기업들은 15일 정부가 빼내든 구조조정 카드에 몸서리 치며 ‘생존’의 하반기를 절박함 속에서 보내고 있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여신규모 50억~500억 원의 외감법인 861개사를 대상으로 1차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워크아웃대상 C등급 77개, 퇴출대상 D등급 36개 등 모두 113개사를 구조조정 대상으로 평가했다.

이는 기업의 옥석가리기를 하겠다는 정부 의지의 표출로 오는 11월까지 2차례의 추가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할 것으로 알려져 C·D등급에 속할 것으로 우려되는 기업들은 애를 태우고 있다.

1차 평가에는 기업들의 재무적인 요인만 적용했으나 2차 평가부터는 연체발생과 할인어음 연장, 압류 여부 등을 고려한 질적인 부분까지 적용, 벌써부터 1차부터 몇 배가 넘는 기업들이 퇴출 될 것이라는 위기감도 현장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또 금융당국이 기업들의 구조조정 및 회생을 위해 적극적인 행보를 취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실질적인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반기 경기회복에 대해 낙관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은행권이 기업 구조조정에 힘을 실어 줄지 의문을 제기하는 등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특히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구조조정을 피해가기 위한 기업 경영환경이 좋지 않다는 것도 기업들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2차 신용위험평가 기준으로 연체발생 등이 들어가면서 일시적으로 자금 유동성을 겪었던 일부 기업들이 큰 피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하반기 은행대출이 쉽지않고 정책자금 또한 거의 소진돼 자금확보에 비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들은 이번 구조조정을 피해가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자조섞인 목소리까지 흘러 나오고 있다.

금감원은 채권은행 간 협약 내용을 발표하고 워크아웃 사실을 비공개로 해 수주중단 등 경영상 어려움을 초래하는 것을 막겠다는 의지를 표출하고 있지만 현장반응은 싸늘하다.

중소기업 대표 A 씨는 “기업 구조조정이 진행되면 건실한 기업들에게 대출지원이 집중돼 더욱 좋은 기업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것을 금융당국은 알아야 한다”며 “현재의 대출심사 시스템은 기술력을 갖고 미래가 밝은 기업을 한 순간에 퇴출기업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한 옥석가리기를 통해 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