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이 수익성 향상을 위해 일방적으로 철도이용계약수송 할인을 차등 적용하고 있어 철도 이용객의 불만이 거세지고 있다.
코레일은 지난 1일부터 철도이용계약수송 할인율을 과거과 달리 홈티켓(인터넷)과 역 창구·승차권판매대리점(여행사) 발권으로 구분해 차등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철도이용계약을 맺은 기업 및 지자체는 직원 이용 비율에 따라 4등급으로 구분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이용 여부, 주말·휴일과 평일 여부로 또 분류돼 모두 16개의 세부 할인율을 적용받게 됐다.
종전에는 30%로 일괄 적용됐던 할인율이 새로운 적용방법에 따라 온라인상 승차권 구입 때는 30~2.5%, 오프라인 구입 때는 15~1.2%의 할인율을 적용받게 된 것.
이처럼 할인율 편차가 극심해지자 30%의 할인율을 적용받던 구매자들의 볼멘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코레일은 발권비용 절감 및 창구 대기시간 감축 목표로 이 같은 할인제도를 선보였지만 세부적 할인율 적용 내용을 해당 기업 및 지자체에 통보하지 않아 더 큰 반발을 사고 있다.
열차 이용이 많은 A 업체 관계자는 “현재(평일 기준) 온라인으로 승차권을 구매하면 25%, 창구에서는 12.5%의 할인율을 적용받고 있지만 변경 전에는 25%의 동일한 할인율을 적용받았다”며 “출장을 갈 때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출발할 수 있지만 되돌아오는 경우에는 회의시간 연장 등 지연될 때가 더 많아 대부분 창구에서 승차권을 발급 받게돼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지자체의 한 공무원은 “철도이용계약 변경고시 때 절차 등 교육을 받았지만 할인율이 차등 적용된다는 것은 몰랐다”며 “대부분의 출장자들이 뒤늦게 과거보다 낮은 혜택이 주어진다는 사실을 알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고 말했다.
코레일 관계자는 “새로운 철도이용계약 변경은 승차권발급 비용 절감과 창구대기시간 단축, 그리고 철도 이용객의 인터넷 접수 활성화 요구 등으로 이뤄진 것”이라며 “일부 고객의 불만사항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현재 조사 중이며, 시행 초기인 만큼 구체적인 개선방향은 시간이 지나야 도출될 것 같다”고 말했다.
최장준 기자 thispro@cctoday.co.kr
코레일은 지난 1일부터 철도이용계약수송 할인율을 과거과 달리 홈티켓(인터넷)과 역 창구·승차권판매대리점(여행사) 발권으로 구분해 차등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철도이용계약을 맺은 기업 및 지자체는 직원 이용 비율에 따라 4등급으로 구분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이용 여부, 주말·휴일과 평일 여부로 또 분류돼 모두 16개의 세부 할인율을 적용받게 됐다.
종전에는 30%로 일괄 적용됐던 할인율이 새로운 적용방법에 따라 온라인상 승차권 구입 때는 30~2.5%, 오프라인 구입 때는 15~1.2%의 할인율을 적용받게 된 것.
이처럼 할인율 편차가 극심해지자 30%의 할인율을 적용받던 구매자들의 볼멘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코레일은 발권비용 절감 및 창구 대기시간 감축 목표로 이 같은 할인제도를 선보였지만 세부적 할인율 적용 내용을 해당 기업 및 지자체에 통보하지 않아 더 큰 반발을 사고 있다.
열차 이용이 많은 A 업체 관계자는 “현재(평일 기준) 온라인으로 승차권을 구매하면 25%, 창구에서는 12.5%의 할인율을 적용받고 있지만 변경 전에는 25%의 동일한 할인율을 적용받았다”며 “출장을 갈 때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출발할 수 있지만 되돌아오는 경우에는 회의시간 연장 등 지연될 때가 더 많아 대부분 창구에서 승차권을 발급 받게돼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지자체의 한 공무원은 “철도이용계약 변경고시 때 절차 등 교육을 받았지만 할인율이 차등 적용된다는 것은 몰랐다”며 “대부분의 출장자들이 뒤늦게 과거보다 낮은 혜택이 주어진다는 사실을 알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고 말했다.
코레일 관계자는 “새로운 철도이용계약 변경은 승차권발급 비용 절감과 창구대기시간 단축, 그리고 철도 이용객의 인터넷 접수 활성화 요구 등으로 이뤄진 것”이라며 “일부 고객의 불만사항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현재 조사 중이며, 시행 초기인 만큼 구체적인 개선방향은 시간이 지나야 도출될 것 같다”고 말했다.
최장준 기자 thispro@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