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2 지방선거 공천 주체를 놓고 자유선진당 내 물밑 신경전이 치열하다.

특히 중앙당과 시·도당, 당내 계파 간 공천권한을 둘러싼 주도권 경쟁이 가열되면서 자칫 당 내분으로 번질 조짐마저 엿보이고 있다.

15일 복수의 선진당 관계자에 따르면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할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의 경우 중앙당 차원에서 공천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은 중앙당에서 공천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히는 것 같다”며 “최근에는 광역의원과 비례대표의 공천도 중앙당에서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경우 시·도당은 기초의원에 대한 공천권만 행사할 수 있어 사실상 지방선거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이 거의 없게 된다.

민주당과 한나라당 등이 당헌·당규에 따라 광역단체장만 중앙당에서 공천권을 행사하고 나머지 기초단체장과 광역의원, 기초의원의 공천은 시·도당에서 전권을 행사하는 것과 비교한다면, 선진당은 ‘중앙 집권적 하향식 공천 방식’인 셈이다.

오는 18일부터 내년 지방선거 출마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선진 정치 아카데미’ 역시 중앙당의 ‘독식(?)’이라는 시·도당의 불만을 사고 있다.

타 정당들은 각 시·도당별로 자체적으로 정치 아카데미를 열지만, 선진당은 중앙당 주관으로 서울에서만 진행토록 하고 있다.

때문에 시·도당에서는 선진 정치 아카데미에 수강신청을 한 지역인사들이 누구인지에 대해 중앙당에 되묻는 웃지 못할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시·도당의 관계자는 “시·도당의 역할이 중앙당의 눈치만 살피고 중앙당의 지침만 받드는 것이라면 진정한 지방정치의 의미를 찾을 수 없을뿐만 아니라 중앙당의 예속화만 부추기게 된다”며 “예컨대 중앙당의 연줄만 잡고 지역여론에 배치되는 인물이 공천을 받는다면 내년 선거에서 좋은 결과를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당 고위 관계자는 사견임을 전제로 “공천권에 대한 중앙당의 움직임은 당내 당직자들과 주변 인물들이 벌이는 지분경쟁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본다”며 “진지한 고민과 잡음을 없앨 수 있는 시스템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