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개교 10년 만에 폐교 위기에 내몰린 대덕테크노밸리 인근 대전 보덕초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본보 15일자 6면 보도>

인구유출에 따른 농촌형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이 아닌 빈부격차와 사회적인 기피 현상으로 인한 이른바 ‘대도시형 폐교’란 점에서 지역사회 안팎에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폐교 아닌 사실상 동네 퇴출=상대적으로 학생자원이 충분한 대전에서 개교한지 채 10년 만에 폐교 수순에 나선 것은 보덕초가 개청 이래 처음이다.

그동안 둔산지 역내 일부 저소득층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인근 아파트 단지 주민들 간 학군배정을 놓고 갈등이 있었으나 폐교까지 간 사례는 없었다.

더욱이 학생수 감소란 외형적 요인은 전형적인 농산어촌 폐교 형태와 같지만 보덕초의 사례는 인근 주민들의 학교 기피로 사실상 동네 퇴출에 보다 가깝다는 점에서 지역사회에 던지는 화두는 매우 무겁다. 또 사회계층 간 갈등을 치유할 만한 제도적 뒷받침이 병행되지 않는 한 이 같은 ‘대도시형 폐교’ 사례는 언제든지 되풀이될 수 밖에 없어 지역사회 차원의 대책 마련도 절실하다.

△교육행정 문제 없었나=대전시교육청은 학부모들의 학교 기피현상이 심화되고, 급기야 소규모 학교로 전락한 보덕초 재학생들의 교육환경 등을 고려할 때 학교통폐합이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는 설명이다.

실제 보덕초는 1998년 개교 당시 37학급의 적정학급을 유지했으나 수년 전부터 학생수가 줄어 내년에는 6학급 이하로까지 떨어진다고 시교육청은 밝혔다.

그러나 일부 주민들 사이에선 교육청이 주장하는 학부모들의 이기주의와 빈부격차에 대한 그릇된 편견도 하나의 원인이지만 폐교 위기로 내몰릴 때까지 방치한 교육 행정이 보다 근본적인 문제란 지적을 내놓고 있다.

보덕초가 저소득층이 밀집한 단독주택단지 권역에 위치한 점도 있지만 인근 송강초와 구즉초의 경우 영구임대아파트 학생들을 수용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빈부 격차만이 유일한 원인은 아니다란 주장이다.

이들은 기존 학교의 학생 수용 상황을 간과한 무리한 학교신설과 학급증설 정책이 결국 학교 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벌어지는 풍선 효과를 야기했고, 결국 수백억 원의 교육재정을 투입해 건립한 학교가 10년 만에 스스로 문을 닫는 부메랑으로 되돌아왔다는 것이다.

△애궂은 학생들만 피해… 사회계층 통합노력 시급=학교를 둘러싼 계층 간 갈등 현상은 주민들 간 위화감을 조성하고 기피학교로 낙인찍힌 학교의 학생들만 애궂은 피해를 본다는 것이다.

교육계의 한 인사는 “빈부격차에 따른 특정학교 기피현상은 주민갈등과 사회 내 위화감으로 표출될 수 밖에 없고, 공교육 전반에도 악영향을 끼친다”며 “기피 학교에 대한 교육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책과 지자체의 주거환경 개선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