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학기, 1250여 명의 인턴교사가 대전·충남지역 일선 초·중·고교에 투입된다.

하지만 정규교사가 채워야 할 자리를 비정규직으로 막는다는 비판과 인턴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지적 또한 끊이지 않고 있다.

대전시교육청과 충남도교육청은 15일 학습보조인턴교사 채용계획을 발표하고 각 388명과 855명의 인력을 채용할 예정임을 밝혔다.

분야별 채용인원은 대전의 경우 △과학실험 보조 75명 △수준별이동수업 학습보조 74명 △위기자녀 지원 전문상담 62명 △사교육 없는 학교 운영보조 54명 △학력향상 학습도우미 48명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지원 39명 △전문계고 산업현장 실습보조 36명이다.

충남은 △수준별 이동수업 학습보조 290명 △과학실험 보조 205명 △전문계고 산업현장 실습보조 105명 △사교육 없는 학교운영 보조 98명 △위기자녀 지원 전문상담 90명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지원 67명이다.

인턴교사는 일선 학교에서 정규교사를 도와 학습 지도를 하거나 방과후학교, 수준별 이동수업 등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에 채용될 예정인 인턴교사는 교육공무원이 아닌 1년 미만 강사 신분이며 월 120만 원 정도의 보수를 받게 된다.

활동기간은 9월 1일부터 12월 31까지 4개월로 채용권한은 학교장에게 있다.

자격은 교원자격증 소지자를 원칙으로 하되 예외적으로 자격증 미소지자 중 해당 분야 근무경력 및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응시할 수 있다.

희망자는 각 학교의 채용공고에 따라 학교장에게 지원서를 제출하면 되고 서류전형과 면접을 통해 선발된다.

양 교육청의 이 같은 인턴교사 채용 계획이 발표되자 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 여론도 거세지고 있다.

임기 4개월의 임시교사에게 전문성이 요구되는 교육현장을 맡길 수 있겠냐는 지적이 잇따르는 것.

인력난에 허덕이는 일선 학교를 돕기 위해선 인턴교사가 아닌 정규교사를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대전의 한 교육관계자는 “교단은 학생들의 미래를 책임지는 자린데 전문성이 검증되지 않은 임시교사에게 맡긴다는 건 문제가 있다”며 “교육당국은 단기성 처방만 쏟아낼 것이 아니라 정규교사 확보 등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