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의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 조치로 수도권의 대출 수요가 둔화된 반면 대전·충청지역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초 금융당국은 올 상반기 주택담보대출 시장의 과열을 이유로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적용 차등화 등 대출 억제 방안을 강구했다.

이에 따라 각 은행의 대출 우대금리가 폐지된데 이어 주택을 담보로 대출할 때 적용하는 주택가격 대비 담보가치 대출 한도인 LTV를 현행 60%(투기지역은 40%)에서 10%포인트 하향조정하는 등 각종 규제 방안이 제시됐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6개 시중은행의 지난주 말 현재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211조 5759억 원을 기록하며, 이달 들어 하루평균 증가액이 전월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이 같은 현상은 정부가 수도권의 LTV를 집값의 60%에서 50%로 하향조정하는 등 관련 규제를 강화한 데다 부동산 시장이 7~8월 비수기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반면 대전·충청지역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증가세가 더욱 확대되는 추세를 보여 이와 대조됐다.

실제 이날 한 시중은행의 대전지역 주택담보대출 잔액 증가분은 보름만에 전월보다 27억 원 이상 늘며 올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다른 은행의 지난달 주택담보대출 잔액도 전월대비 330억 원 증가하는 등 평균 이상의 증가세를 보였다.

이처럼 지역의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줄지 않는 것은 지역 대부분이 강화된 대출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데다, 투기성보다는 실수요 중심의 거래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올 초 주택담보대출을 확대하던 금융권 기류가 최근 들어 당국의 규제에 정반대의 분위기로 흘러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지역에 기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며 “그러나 올 하반기에는 전체 대출 규모를 축소하는 움직임이 강한 만큼 조만간 지역 주택담보대출 시장도 축소될 전망이다”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