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 내 기관들의 보안불감증이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의 보안투자에 대한 인색함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중소·벤처기업은 보안시스템 도입은 고사하고 보안의식까지 불감증 수준을 넘어선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2008년 발간된 국가정보원 정보보호백서에 따르면 42%에 달하는 정부기관들의 정보보호 예산이 전체 정보화 예산 대비 2% 미만에 불과하다. 이 백서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대덕특구 출연연들은 보안 관련 인력이나 예산을 보면 정보보안 마인드에서 여전히 문제가 있음이 파악됐다.
ETRI를 제외하고 정보보호 전담조직은커녕 대부분의 출연연에서 다른일을 겸하는 1~2명의 연구원들이 보안을 담당하고 있다.
정보보호 예산도 절반이 넘는 기관이 전체 R&D 예산의 1%에 불과한 1억 원 미만이고, 한해 정보 보안 예산이 1000만 원도 안되는 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 달에 한 번씩 개인 PC를 점검하는 ‘사이버 안전의 날’ 행사 때에는 점검을 하지 않은 연구원들 때문에 보안담당자들이 점검요청에 하루 전부를 할애할 만큼 개인들의 정보보안 마인드도 크게 결여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01년 웜바이러스로 인터넷 전산망 전체가 마비됐던 ‘1·25 대란’이후 출연연 별로 정보보호 강화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예산도 확보하는 등 개선의지를 나타냈지만 아직도 안전 수준에는 못미치는 것이다.
대덕특구 내 중소·벤처기업들의 보안 불감증도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7일 발생한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에 일부 기업들은 보안시스템은 고사하고 백신설치 등의 조치도 취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각 기업들의 보안담당자들 역시 전문인력이 아닌 직원가운데 컴퓨터를 잘 다루는 직원에게 일임하는 것이 다반사이며 백신설치 정도의 기초적인 수준에 크치고 있다.
백신과 함께 기초 보안시스템에 속하는 방화벽의 보유도 현저하게 떨어지며 최신 보안제품에 속하는 통합 보안제품을 설치한 곳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처럼 기술 등 정보보안이 생존과도 직결되는 출연연과 기업들의 정보보안에 대한 홀대는 국가경쟁력까지 떨어질 수 있어 시급한 대책마련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의 보안투자에 대한 인색함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중소·벤처기업은 보안시스템 도입은 고사하고 보안의식까지 불감증 수준을 넘어선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2008년 발간된 국가정보원 정보보호백서에 따르면 42%에 달하는 정부기관들의 정보보호 예산이 전체 정보화 예산 대비 2% 미만에 불과하다. 이 백서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대덕특구 출연연들은 보안 관련 인력이나 예산을 보면 정보보안 마인드에서 여전히 문제가 있음이 파악됐다.
ETRI를 제외하고 정보보호 전담조직은커녕 대부분의 출연연에서 다른일을 겸하는 1~2명의 연구원들이 보안을 담당하고 있다.
정보보호 예산도 절반이 넘는 기관이 전체 R&D 예산의 1%에 불과한 1억 원 미만이고, 한해 정보 보안 예산이 1000만 원도 안되는 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 달에 한 번씩 개인 PC를 점검하는 ‘사이버 안전의 날’ 행사 때에는 점검을 하지 않은 연구원들 때문에 보안담당자들이 점검요청에 하루 전부를 할애할 만큼 개인들의 정보보안 마인드도 크게 결여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01년 웜바이러스로 인터넷 전산망 전체가 마비됐던 ‘1·25 대란’이후 출연연 별로 정보보호 강화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예산도 확보하는 등 개선의지를 나타냈지만 아직도 안전 수준에는 못미치는 것이다.
대덕특구 내 중소·벤처기업들의 보안 불감증도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7일 발생한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에 일부 기업들은 보안시스템은 고사하고 백신설치 등의 조치도 취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각 기업들의 보안담당자들 역시 전문인력이 아닌 직원가운데 컴퓨터를 잘 다루는 직원에게 일임하는 것이 다반사이며 백신설치 정도의 기초적인 수준에 크치고 있다.
백신과 함께 기초 보안시스템에 속하는 방화벽의 보유도 현저하게 떨어지며 최신 보안제품에 속하는 통합 보안제품을 설치한 곳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처럼 기술 등 정보보안이 생존과도 직결되는 출연연과 기업들의 정보보안에 대한 홀대는 국가경쟁력까지 떨어질 수 있어 시급한 대책마련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