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대출 만기연장 등에 부과하는 가산금리가 연 3%포인트를 넘어서면서 서민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은행들이 줄어든 대출 수익을 가산금리를 높여 메우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담보대출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변동금리부 대출의 경우 기준금리인 3개월물 CD(양도성예금증서) 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이자를 책정하고, 대출시 설정된 가산금리는 만기시까지 변하지 않는다.

은행권은 CD금리가 4% 대였던 지난해에는 가산금리를 1% 내외로 책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올 들어 CD금리가 2.41%까지 내린 상태로 유지되면서 대출금리가 내려간 반면 대출 규모는 크게 늘면서 은행들이 수익 개선책으로 가산금리를 인상, 애꿎은 서민들만 된서리를 맞고 있다.

실제 지난주 말 현재 시중은행 가운데 4개 은행에서 취급하는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의 가산금리를 연 3%포인트 이상으로 책정했다.

최근 대출 연장을 위해 은행을 찾았던 박 모(39·대전시 중구) 씨는 기대했던 금리 인하 대신 3%포인트의 가산금리가 붙으면서 실망할 수 밖에 없었다.

박 씨는 “지금 당장은 저금리라도 내년이면 금리가 전체적으로 오른다는데, 가산금리를 이렇게 높게 책정하면 내년에 이자는 어떻게 부담하냐”며 “가산금리가 아니고 마치 대출 연장에 대한 벌금을 부과하는 것 같다”고 푸념했다.

반면 은행권은 최근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불안해지면서 가산금리 인상을 고수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올 초 저금리에 일부 은행들이 대출금리 산정 방식을 바꿔 금리를 인상했지만 무위에 그치면서 차선책으로 가산금리를 인상하고 있다”며 “신규 대출이 저렴한 금리로 나가고 있어 적정 예대마진을 유지하기 위해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