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대의 도서관 자치위원회는 최근 도서관에서 중·고등학생들을 퇴출키로 결정했다.
도서관을 찾는 중·고생들이 삼삼오오 모여 잡담을 나누는 등 면학분위기를 해치고 있다는 재학생들의 민원이 빗발친 데 따른 것이다.
도서관 입구에 ‘중고생 출입금지 결정’ 공고를 내는 것으로 쉽게 끝날 줄 알았던 중·고생 퇴출 작업은 보기 좋게 기대를 벗어났다.
도서관에 출입통제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이 대학은 중·고생 출입을 차단하기에 역부족이었고, 매일마다 대학생 순찰반과 중·고생들간에 옥상과 1층, 5층 등을 이리저리 숨어다니는 숨바꼭질이 벌어졌다.
결국 도서관자치위원회는 매일마다 중·고생들의 주요 대피(?) 통로인 3층 중앙도서관 문을 닫고 옥상부터 차례로 순찰을 돌며 중·고생들을 밖으로 내모는 고강도 색출 작업에 나서고 있다.
대학도서관이 때 아닌 ‘중·고딩’들과 전쟁을 치르고 있다.
최근 일부 중·고교생들이 열람실 자리만 차지하고 공부는 뒷전인채 잡담을 나누거나 휴게실 과다 사용등으로 재학생들이 겪는 불편이 갈수록 심화되자 본격적인 중·고생 퇴출에 나선 것이다.
기말시험과 수능준비에 바쁜 중·고교생들에겐 시원하고 조용한 대학 도서관이 최적의 장소지만, 취업 준비와 열람실 자리 다툼의 ‘이중고’에 시달리는 대학생들의 분위기는 냉랭하기만 하다.
충남대는 최근 중앙도서관 입구에 ‘중·고등학생 출입금지’ 공고를 게시했다. 그 동안 제한적이나마 외부인에게 일부 열람실을 개방하던 충남대는 최근 도서관내에서 중·고교생들이 소란을 피우는 등 민원이 잇따르자 이들의 출입을 제한키로 했다. 대전대 역시 중·고교생을 강제퇴실시킨다고 공고를 내기는 마찬가지. 아예 학생증 카드 소지자만 이용하도록 열람실 출입을 원천 차단한 곳도 있다.
한남대는 주민과 중·고교 학생 등에게 일반 도서 열람을 위한 도서관은 개방했지만 면학 분위기 조성과 재학생들의 도서관 자리 확보를 위해 도서관 내 열람실은 외부인 출입을 차단하고 있다. 대학도서관들의 잇단 중·고교생 출입제한 조치에 대해 찬반 시각은 팽팽하다.
모 대학의 한 관계자는 “대학은 지역사회의 학습수요를 수용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 있다”고 말했으며, 또 다른 대학 관계자는 “복도에서 삼삼오오 모여 큰소리로 떠들고 막말을 하는 등 기본 예절조차 없는 중고교생들을 그대로 수용하기란 한계가 있다”며 “일선 학교에서 도서관 이용시 에티켓을 교육시킬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도서관을 찾는 중·고생들이 삼삼오오 모여 잡담을 나누는 등 면학분위기를 해치고 있다는 재학생들의 민원이 빗발친 데 따른 것이다.
도서관 입구에 ‘중고생 출입금지 결정’ 공고를 내는 것으로 쉽게 끝날 줄 알았던 중·고생 퇴출 작업은 보기 좋게 기대를 벗어났다.
도서관에 출입통제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이 대학은 중·고생 출입을 차단하기에 역부족이었고, 매일마다 대학생 순찰반과 중·고생들간에 옥상과 1층, 5층 등을 이리저리 숨어다니는 숨바꼭질이 벌어졌다.
결국 도서관자치위원회는 매일마다 중·고생들의 주요 대피(?) 통로인 3층 중앙도서관 문을 닫고 옥상부터 차례로 순찰을 돌며 중·고생들을 밖으로 내모는 고강도 색출 작업에 나서고 있다.
대학도서관이 때 아닌 ‘중·고딩’들과 전쟁을 치르고 있다.
최근 일부 중·고교생들이 열람실 자리만 차지하고 공부는 뒷전인채 잡담을 나누거나 휴게실 과다 사용등으로 재학생들이 겪는 불편이 갈수록 심화되자 본격적인 중·고생 퇴출에 나선 것이다.
기말시험과 수능준비에 바쁜 중·고교생들에겐 시원하고 조용한 대학 도서관이 최적의 장소지만, 취업 준비와 열람실 자리 다툼의 ‘이중고’에 시달리는 대학생들의 분위기는 냉랭하기만 하다.
충남대는 최근 중앙도서관 입구에 ‘중·고등학생 출입금지’ 공고를 게시했다. 그 동안 제한적이나마 외부인에게 일부 열람실을 개방하던 충남대는 최근 도서관내에서 중·고교생들이 소란을 피우는 등 민원이 잇따르자 이들의 출입을 제한키로 했다. 대전대 역시 중·고교생을 강제퇴실시킨다고 공고를 내기는 마찬가지. 아예 학생증 카드 소지자만 이용하도록 열람실 출입을 원천 차단한 곳도 있다.
한남대는 주민과 중·고교 학생 등에게 일반 도서 열람을 위한 도서관은 개방했지만 면학 분위기 조성과 재학생들의 도서관 자리 확보를 위해 도서관 내 열람실은 외부인 출입을 차단하고 있다. 대학도서관들의 잇단 중·고교생 출입제한 조치에 대해 찬반 시각은 팽팽하다.
모 대학의 한 관계자는 “대학은 지역사회의 학습수요를 수용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 있다”고 말했으며, 또 다른 대학 관계자는 “복도에서 삼삼오오 모여 큰소리로 떠들고 막말을 하는 등 기본 예절조차 없는 중고교생들을 그대로 수용하기란 한계가 있다”며 “일선 학교에서 도서관 이용시 에티켓을 교육시킬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