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요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관람료 인상에 대해 ‘극장주만 배불리는 꼴’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롯데시네마 대전점과 CGV 대전점은 각각 1일, 3일부터 영화 관람료를 일제히 1000원 씩 인상했다.
이와 맞물려 매점을 통한 과도한 판매마진, 인기 상영작의 상영관 독점 등은 영화관들이 돈벌이에만 급급한 것 아니냐는 비난으로 이어지고 있다.
◆영화관람료 인상은 불가피하다?
영화관 업계는 스크린 수 증가에 따른 수익성 악화와 디지털 영사기 등 신규설비 투자 요인이 발생한 점, 감가상각에 따른 설비교체 시기가 도래한 점 등을 들어 관람료 인상의 불가피하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1000원이라는 요금인상이 영화관람 환경 개선과 얼마나 비례하겠느냐라는 관객들의 반응이 대부분이다. 특히 경제적인 불황에 모두가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서 요금 인상이 영화를 선택하는 관객에게 과연 돈이 아깝지 않은 합리적인 선택이 될 것인지에 대한 의문점도 제기된다.
또 비슷한 시기에 같은 인상 폭으로 요금을 올린 영화관들에 대해 업체간 ‘담합 의혹’도 제기돼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했다.
실제 지난해 극장들이 영화 관람료 할인을 중단하기 위해 담합을 했다며 69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기도해 의혹은 커지고 있다.
◆극장 매점음료수값 ‘거품이 반’
멀티플렉스 영화관 내 매점에서 음료수 등을 판매하면서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5일 지역 내 멀티플렉스 영화관과 매점과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음료수 가격을 비교해 본 결과, 동일한 제품의 가격 차이가 최고 3배나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홈플러스 탄방점에서 780원에 판매되는 음료수 ‘2% 부족할때(350㎖)’의 경우 롯데시네마 대전점에서 2000원에 판매, 무려 2배에 달하는 가격차를 보였다. 또 생수인 ‘순수·아이시스(500㎖)’는 대형마트에서 비슷한 용량의 생수가 300~400원대의 가격에 판매되고 있어 3배가 넘는 가격차를 보이고 있다.
CGV와 씨너스도 상영관 내 매점의 가격과 마트에서 판매되는 가격차가 30~200%까지로, 일반 소비자가 쉽게 납득할 수 없는 가격구조를 가졌다.
◆‘잘나가는 영화’ 영화관 도배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스크린 독점 현상도 심각한 수위에 이르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는 지난달 26~28일 전국 1174개 스크린에서 상영됐다.
6월 현재 전국 스크린 수가 2105개라는 점을 감안하면 약 56%의 스크린에서 이 영화를 상영한 셈이다.
실제 트랜스포머 개봉 당일 씨너스 대전점에는 8개 관중 7개 관이 트랜스포머를 상영한 것으로 전해졌고, 5일 현재 지역 영화관 대부분 트랜스포머에 전체 상영관의 절반 이상을 편성하고 있다.
영화 관계자들은 스크린 독점 현상이 국내 중소 제작사와 배급사에 타격을 주고 결국 관객에게도 피해가 고스란히 전가된다고 우려하고 있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
롯데시네마 대전점과 CGV 대전점은 각각 1일, 3일부터 영화 관람료를 일제히 1000원 씩 인상했다.
이와 맞물려 매점을 통한 과도한 판매마진, 인기 상영작의 상영관 독점 등은 영화관들이 돈벌이에만 급급한 것 아니냐는 비난으로 이어지고 있다.
◆영화관람료 인상은 불가피하다?
영화관 업계는 스크린 수 증가에 따른 수익성 악화와 디지털 영사기 등 신규설비 투자 요인이 발생한 점, 감가상각에 따른 설비교체 시기가 도래한 점 등을 들어 관람료 인상의 불가피하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1000원이라는 요금인상이 영화관람 환경 개선과 얼마나 비례하겠느냐라는 관객들의 반응이 대부분이다. 특히 경제적인 불황에 모두가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서 요금 인상이 영화를 선택하는 관객에게 과연 돈이 아깝지 않은 합리적인 선택이 될 것인지에 대한 의문점도 제기된다.
또 비슷한 시기에 같은 인상 폭으로 요금을 올린 영화관들에 대해 업체간 ‘담합 의혹’도 제기돼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했다.
실제 지난해 극장들이 영화 관람료 할인을 중단하기 위해 담합을 했다며 69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받기도해 의혹은 커지고 있다.
◆극장 매점음료수값 ‘거품이 반’
멀티플렉스 영화관 내 매점에서 음료수 등을 판매하면서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5일 지역 내 멀티플렉스 영화관과 매점과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음료수 가격을 비교해 본 결과, 동일한 제품의 가격 차이가 최고 3배나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홈플러스 탄방점에서 780원에 판매되는 음료수 ‘2% 부족할때(350㎖)’의 경우 롯데시네마 대전점에서 2000원에 판매, 무려 2배에 달하는 가격차를 보였다. 또 생수인 ‘순수·아이시스(500㎖)’는 대형마트에서 비슷한 용량의 생수가 300~400원대의 가격에 판매되고 있어 3배가 넘는 가격차를 보이고 있다.
CGV와 씨너스도 상영관 내 매점의 가격과 마트에서 판매되는 가격차가 30~200%까지로, 일반 소비자가 쉽게 납득할 수 없는 가격구조를 가졌다.
◆‘잘나가는 영화’ 영화관 도배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스크린 독점 현상도 심각한 수위에 이르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는 지난달 26~28일 전국 1174개 스크린에서 상영됐다.
6월 현재 전국 스크린 수가 2105개라는 점을 감안하면 약 56%의 스크린에서 이 영화를 상영한 셈이다.
실제 트랜스포머 개봉 당일 씨너스 대전점에는 8개 관중 7개 관이 트랜스포머를 상영한 것으로 전해졌고, 5일 현재 지역 영화관 대부분 트랜스포머에 전체 상영관의 절반 이상을 편성하고 있다.
영화 관계자들은 스크린 독점 현상이 국내 중소 제작사와 배급사에 타격을 주고 결국 관객에게도 피해가 고스란히 전가된다고 우려하고 있다. 권순재 기자 ksj2pro@cctoday.co.kr
상 품 명 | CGV ·롯데 시네마 |
홈플러스 탄방점 |
가격차 (%) |
2%부족할때 (350㎖) |
2,000 | 730 | 174.0 |
오늘의 차(370㎖) | 2,000 | 750 | 166.7 |
게토레이(500㎖) | 2,000 | 900 | 122.2 |
트로피카나(350㎖) | 3,000 | 1,380 | 117.4 |
프링글스(40g) | 1,500 | 990 | 51.5 |
맛밤(80g) | 3,000 | 2,350 | 2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