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와 국방대, 충남도, 논산시 등 4개 기관이 국방대 일부 논산 분리이전이 아닌 완전 이전에 대해 지난달 17일 전격 합의함에 따라 충남도와 대전시, 논산시 등을 묶는 '국방과학산업 클러스터 조성'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사항인 '국방과학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논산시의 국방산단 조성과 함께 천안·아산을 포함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행정중심복합도시, 연기첨단산업단지 등을 협조 대상권역을 설정하고, 여기에 입주할 국방관련 연구 및 군수 벤처기업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국가의 국방산업에 일조한다는 개념이다.
충남도는 2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국방과학산업 클러스터 기본구상 및 추진전략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갖고 연구용역의 진행상황과 세부사업 내용 등을 집중 점검했다.
연구용역을 수행 중인 충남발전연구원 이관률 책임연구원은 이 자리에서 국방과학산업 클러스터 조성지역은 △우리나라 최대의 국방관련기관의 집적지 △ADD(국방과학연구소),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의 우수한 국방과학연구기관의 입지 △국방과학산업 관련기관으로부터 지속적인 기업분가와 재입지 △저렴한 개발비용과 가용토지의 확보 △국방과학산업클러스터에 대한 강력한 정책적 의지 등의 장점이 있다고 소개했다.
반면 약점으로는 △국방과학산업 연구개발 성과의 시험평가 인프라 부족 △국방과학산업 관련기관의 상호교류 및 협력 취약 △국방과학산업의 생산 및 교육기반 취약 △국방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한 지역이미지 및 브랜드 가치 제고 미흡 △국방과학산업 클러스터를 추진할 수 있는 전담부서 및 조직 미확충 등을 꼽았다. 이 연구원은 “국방과학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산·학·연·관·군 거버넌스의 구축이 필요하다”며 “국방과학산업클러스터 추진단 구성과 국방과학산업을 위한 선택위원회, 국방과학산업 유치지원 및 제도개선 T/F, 방위산업 전략계획 등을 포함하는 (가칭)‘국방과학산업클러스터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만들어져야 된다”고 제안했다.
이어 “충남도가 국방과학산업 클러스터 기본구상 및 추진전략을 수립하면 향후 국방과학산업클러스터 구축 시 경쟁지역에 비해 정책적 우위성과 당위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충남도는 논산에 조성 중인 국방산업단지와 함께 3군본부, 육군훈련소, 국방대, 육군항공학교와 대전의 육군군수사령부, 국방과학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등과 연계할 수 있는 '국방과학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
충남도는 2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국방과학산업 클러스터 기본구상 및 추진전략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갖고 연구용역의 진행상황과 세부사업 내용 등을 집중 점검했다.
연구용역을 수행 중인 충남발전연구원 이관률 책임연구원은 이 자리에서 국방과학산업 클러스터 조성지역은 △우리나라 최대의 국방관련기관의 집적지 △ADD(국방과학연구소),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의 우수한 국방과학연구기관의 입지 △국방과학산업 관련기관으로부터 지속적인 기업분가와 재입지 △저렴한 개발비용과 가용토지의 확보 △국방과학산업클러스터에 대한 강력한 정책적 의지 등의 장점이 있다고 소개했다.
반면 약점으로는 △국방과학산업 연구개발 성과의 시험평가 인프라 부족 △국방과학산업 관련기관의 상호교류 및 협력 취약 △국방과학산업의 생산 및 교육기반 취약 △국방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한 지역이미지 및 브랜드 가치 제고 미흡 △국방과학산업 클러스터를 추진할 수 있는 전담부서 및 조직 미확충 등을 꼽았다. 이 연구원은 “국방과학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산·학·연·관·군 거버넌스의 구축이 필요하다”며 “국방과학산업클러스터 추진단 구성과 국방과학산업을 위한 선택위원회, 국방과학산업 유치지원 및 제도개선 T/F, 방위산업 전략계획 등을 포함하는 (가칭)‘국방과학산업클러스터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만들어져야 된다”고 제안했다.
이어 “충남도가 국방과학산업 클러스터 기본구상 및 추진전략을 수립하면 향후 국방과학산업클러스터 구축 시 경쟁지역에 비해 정책적 우위성과 당위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충남도는 논산에 조성 중인 국방산업단지와 함께 3군본부, 육군훈련소, 국방대, 육군항공학교와 대전의 육군군수사령부, 국방과학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등과 연계할 수 있는 '국방과학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
임호범 기자 comst99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