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도내 낙후지역에 대한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구지정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에 따르면 최근 성장촉진지역으로 지정된 보은·옥천·영동 등 남부 3군과 괴산 등 일원을 신발전지역으로 지정받기 위해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에 들어갔다.
연구용역은 충북개발연구원이 맡아 10월까지 진행하며 관광, 산업, 농업, 교통, 재정 등 8개 분야 연구진 8명이 참여해 추진하고 있다.
특히 도는 이들 지역의 지구지정을 위해 신발전지역 지정 추진단을 구성, 운영 중이다.
추진단은 전문가, 공무원 등 16명으로 구성됐고, 자료수집과 사업발굴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지난달 22일부터는 관련 4개 군의 공무원이 추진단에 파견돼 근무하고 있어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도는 이를 통해 10월까지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완료하고, 11월에 종합발전 계획(안)을 작성할 계획이다.
이어 국토해양부에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현재 보은·옥천·영동 등 남부 3군과 괴산 등은 지난달 12일 행정안전부와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시행령에 의거해 전국 65개 시·군과 함께 성장촉진지역으로 지정됐다.
이로 인해 이들 지역은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정에 한걸음 다가선 상태다.
정부가 성장촉진지역으로 지정된 지역만을 대상으로 신발전지역으로 지정하기로 방침을 세웠기 때문이다.
이에 도는 이들 지역의 신발전지역 지정을 위해 지난해 12월 지정된 목포, 무안, 신안 등 서남권과 국토위, 지역위 등을 방문해 벤치마킹과 필요한 정보수집에 나서기로 했다.
경북 2개소, 전북 1개소, 인천 1개소 등에서 연구용역을 추진하는 등 많은 시·도가 신발전지역 지정 신청을 준비하는 만큼 종합발전계획(안) 작성에 심혈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특히 종합발전계획(안)에는 충북의 낙후지역에 대한 민간자본 유치 방안을 비롯해 각 지역별 특성을 살린 특화된 계획으로 수립해 타 지자체와 차별화된 면을 내세울 계획이다.
또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구지정 신청을 준비 중인 타 지자체들보다 충북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분석 하에 실현 가능성과 지역 특성을 살린 각종 사업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지정 심사의 핵심요소가 될 종합발전계획(안)을 실현 가능성이 높고 알찬 사업들로 발굴, 수립하겠다”며 “반드시 지정받을 수 있게 도, 시·군, 용역기관이 긴밀히 협조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오는 12월 관계부처 협의 후 신발전지역위원회 심의를 거쳐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2개소를 지정 고시할 계획이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
도에 따르면 최근 성장촉진지역으로 지정된 보은·옥천·영동 등 남부 3군과 괴산 등 일원을 신발전지역으로 지정받기 위해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에 들어갔다.
연구용역은 충북개발연구원이 맡아 10월까지 진행하며 관광, 산업, 농업, 교통, 재정 등 8개 분야 연구진 8명이 참여해 추진하고 있다.
특히 도는 이들 지역의 지구지정을 위해 신발전지역 지정 추진단을 구성, 운영 중이다.
추진단은 전문가, 공무원 등 16명으로 구성됐고, 자료수집과 사업발굴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지난달 22일부터는 관련 4개 군의 공무원이 추진단에 파견돼 근무하고 있어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도는 이를 통해 10월까지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완료하고, 11월에 종합발전 계획(안)을 작성할 계획이다.
이어 국토해양부에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현재 보은·옥천·영동 등 남부 3군과 괴산 등은 지난달 12일 행정안전부와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시행령에 의거해 전국 65개 시·군과 함께 성장촉진지역으로 지정됐다.
이로 인해 이들 지역은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정에 한걸음 다가선 상태다.
정부가 성장촉진지역으로 지정된 지역만을 대상으로 신발전지역으로 지정하기로 방침을 세웠기 때문이다.
이에 도는 이들 지역의 신발전지역 지정을 위해 지난해 12월 지정된 목포, 무안, 신안 등 서남권과 국토위, 지역위 등을 방문해 벤치마킹과 필요한 정보수집에 나서기로 했다.
경북 2개소, 전북 1개소, 인천 1개소 등에서 연구용역을 추진하는 등 많은 시·도가 신발전지역 지정 신청을 준비하는 만큼 종합발전계획(안) 작성에 심혈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특히 종합발전계획(안)에는 충북의 낙후지역에 대한 민간자본 유치 방안을 비롯해 각 지역별 특성을 살린 특화된 계획으로 수립해 타 지자체와 차별화된 면을 내세울 계획이다.
또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지구지정 신청을 준비 중인 타 지자체들보다 충북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분석 하에 실현 가능성과 지역 특성을 살린 각종 사업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지정 심사의 핵심요소가 될 종합발전계획(안)을 실현 가능성이 높고 알찬 사업들로 발굴, 수립하겠다”며 “반드시 지정받을 수 있게 도, 시·군, 용역기관이 긴밀히 협조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오는 12월 관계부처 협의 후 신발전지역위원회 심의를 거쳐 신발전지역 종합발전구역 2개소를 지정 고시할 계획이다.
천영준 기자 cyj542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