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 예술의 아름다운 만남'으로 일컬어지는 메세나 활동이 대전지역에서는 거의 전무해 활성화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메세나란 고대 로마제국시대에 문화예술인들을 적극 후원해 로마문화 번영에 앞장섰던 재상 마에케나스(Maecenas)의 이름에서 유래된 용어로,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일환으로 문화예술활동에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 같은 메세나 운동은 경기불황속에서도 각 시·도 메세나협의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대전지역에서의 활동은 거의 전무한 상태다.
지난해 초부터 대전시는 메세나 붐 조성을 위해 기업의 문화활동지출비를 세제에서 감면하는 문화접대비 제도를 신설하고, 분위기 조성 및 확산을 위해 선도기업을 선정한다는 계획이었지만 기업들의 참여의지를 보이지 않아 이렇다 할 결과를 얻지 못했다. 1개 기업과 1개 예술단체를 이어주는 자매결연도 참여하는 기업의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실제 대전시는 지난해 100명 이상의 종업원을 둔 기업 수백 곳에 문화접대비제도, 자매결연 등을 알리는 공문을 발송하는 등 메세나 활성화에 나섰지만 경기불황 및 기업들의 관심부족, 제반여건 미흡, 지역 예술단체에 대한 불만(불신) 등의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공염불에 그쳤다.
메세나에 대한 기업 및 지역사회의 낮은 관심은 예술인 및 예술단체들의 고통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도시 전체의 행복이 질도 떨어뜨리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예술단체 관계자들은 “공연활동을 비롯한 각종 예술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경비 확보가 필요한데 협찬 및 후원에 나서는 기업이 별로 없을 뿐만 아니라 협찬을 하더라도 일회성에 그쳐 행사자체가 주먹구구식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일부 예술인들은 자비까지 출연해 예술활동을 하고 있지만 대부분 한계에 부딪쳐 있다. 관에 대한 의존도도 날로 심해지며 그에 따른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기업과 예술단체가 협력해 좋은 예술 활동을 하게 되면 도시의 행복의 질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창작활동, 기업 이미지 제고에 상당한 도움이 되는데도 불구하고 대전에서만 메세나 활동이 부진한 것은 매우 아쉬운 일"이라며 “메세나 활동에 나서는 기업에 대한 다각적 혜택과 시민들의 해당기업물품 애용 등 메세나 참여 기업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메세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경기침체 및 선도기업 선정에 어려움을 겪으며, 이렇다할 결과를 얻지 못했다"면서 "올 하반기 중으로 메세나협의회를 출범시켜 메세나 활성화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메세나란 고대 로마제국시대에 문화예술인들을 적극 후원해 로마문화 번영에 앞장섰던 재상 마에케나스(Maecenas)의 이름에서 유래된 용어로,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일환으로 문화예술활동에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 같은 메세나 운동은 경기불황속에서도 각 시·도 메세나협의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대전지역에서의 활동은 거의 전무한 상태다.
지난해 초부터 대전시는 메세나 붐 조성을 위해 기업의 문화활동지출비를 세제에서 감면하는 문화접대비 제도를 신설하고, 분위기 조성 및 확산을 위해 선도기업을 선정한다는 계획이었지만 기업들의 참여의지를 보이지 않아 이렇다 할 결과를 얻지 못했다. 1개 기업과 1개 예술단체를 이어주는 자매결연도 참여하는 기업의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실제 대전시는 지난해 100명 이상의 종업원을 둔 기업 수백 곳에 문화접대비제도, 자매결연 등을 알리는 공문을 발송하는 등 메세나 활성화에 나섰지만 경기불황 및 기업들의 관심부족, 제반여건 미흡, 지역 예술단체에 대한 불만(불신) 등의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공염불에 그쳤다.
메세나에 대한 기업 및 지역사회의 낮은 관심은 예술인 및 예술단체들의 고통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도시 전체의 행복이 질도 떨어뜨리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예술단체 관계자들은 “공연활동을 비롯한 각종 예술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경비 확보가 필요한데 협찬 및 후원에 나서는 기업이 별로 없을 뿐만 아니라 협찬을 하더라도 일회성에 그쳐 행사자체가 주먹구구식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일부 예술인들은 자비까지 출연해 예술활동을 하고 있지만 대부분 한계에 부딪쳐 있다. 관에 대한 의존도도 날로 심해지며 그에 따른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기업과 예술단체가 협력해 좋은 예술 활동을 하게 되면 도시의 행복의 질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창작활동, 기업 이미지 제고에 상당한 도움이 되는데도 불구하고 대전에서만 메세나 활동이 부진한 것은 매우 아쉬운 일"이라며 “메세나 활동에 나서는 기업에 대한 다각적 혜택과 시민들의 해당기업물품 애용 등 메세나 참여 기업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메세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경기침체 및 선도기업 선정에 어려움을 겪으며, 이렇다할 결과를 얻지 못했다"면서 "올 하반기 중으로 메세나협의회를 출범시켜 메세나 활성화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