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은행 지점에서 연체된 대출에 대해 이자상환을 독촉하거나 대출금 상환, 담보 처분을 종용하는 사례가 최근 갑자기 증가하고 하반기 기업 정책자금이 큰 폭으로 줄 것으로 예상되자 중소기업들은 자금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30일 중소·벤처기업 관계자들에 따르면 상반기 결산과 맞물려 시중 은행들이 돈을 걷어들이고 있어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심리로 연구개발과 시설에 투자했던 기업들 중심으로 자금난이 다시 찾아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의 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1분기 1.54%에서 지난 1월 2.37%, 5월 2.57%로 크게 상승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중소기업 대출에 관대한 태도를 보였던 은행들이 건전성에 비상이 걸리면서 최근 태도를 180도 바꾸고 있다.
실제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제조업체인 A기업은 최근 한 시중은행으로부터 5억 원의 경영지원대출을 상환하라는 통보를 받았다. 하반기 설비투자를 늘리는데 이 자금을 투자했으나 자금 유동성에 문제가 생겨 일시적으로 이자상환을 한 달 연체했다는 이유 때문이다.
특히 하반기 중소기업 정책자금이 상반기에 비해 큰 폭으로 축소되고 이미 하반기에 투입될 자금마저도 빠르게 소진되고 있어 기업들의 자금난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1조 3100억 원이 책정돼 있는 신성장기반 자금이 92.9% 지원결정이 이뤄진 가운데 신성장 유망자금은 이미 올 목표치인 1조 100억 원을 초과했다. 개발기술사업화 자금도 1880억 원 예산의 88.7%인 1668억 원에 대해 지원업체가 정해졌고, 지방중소기업기술사업화자금도 89.6% 지원 결정이 끝난 상태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아직 상처가 아물지도 않았는데 갑작스럽게 대출을 회수하는 것은 상반기 중기 정책자금 지원이 한순간에 수포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천안 산업단지 내 B기업 대표는 “정부의 중소기업 옥석가리기에 따른 자금 수급 불균형과 맞물려 기업들은 자금 유동성 문제를 다시 겪고 있다”며 “불과 얼마 전까지 ‘돈 좀 빌려가라’고 아수성쳤던 은행들이 이제는 빨리 ‘빚을 갚으라’고 독촉하는 행태는 기지개도 펴기도 전에 짓밟는 잔인한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