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전시 시내버스 수입금 절도 사건과 관련 대전시 시내버스노동조합 및 동종업계 종사자, 일부 시 소속 감독관 등이 시와 경찰이 사건을 축소하고, 서둘러 종결시켰다는 주장을 제기해 주목받고 있다. <본보 16일자 5면, 19일자 5면 보도>이들은 버스회사 간부 및 직원들이 1년 6개월간 수백만 원의 시내버스 수입금을 빼돌리는 동안 회사의 조직적인 개입이 없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없고, 타 회사까지 수사를 확대하지 않는다는 경찰 측 수사 발표에 대해서도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 26일 대전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시내버스 수입금 수백만 원을 빼돌린 대전의 A버스회사 간부 최 모(41) 씨 등 6명을 절도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최 씨 등 A사 간부 및 직원 6명은 버스 수입금을 정산하는 과정에서 시 소속 감독관의 감시가 소홀한 틈을 이용해 현금 일부를 상의 주머니에 넣는 수법으로 지난해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모두 400회에 걸쳐 수입금 500여만 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
대전시 시내버스노동조합 및 동종업계 종사자, 일부 시 소속 감독관 등은 이에 대해 회사 직원 개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측의 조직적인 개입에 중점을 맞춰 수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관련 자료를 지방경찰청에 제출하며 수사 확대를 요구한 바 있다.
실제 수년간 시 소속 수입금 감독관으로 업무를 담당했던 한 직원은 "현재 감독관들은 시의 묵인 속에 수익금 정산내역과 근무일지를 매일 보고하지 않고 있다"며 "버스회사의 수익금 불법 전용건을 보고해도 매번 시에서 묵살하거나 확인조차 하지 않았다. 감독관과 버스회사 간 유착문제와 시의 잘못된 관행을 고치지 않는 한 이런 일들은 근절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어떤 감독관들은 버스회사로부터 명절선물을 받거나 심지어 축·부의금까지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고백했다.
이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시로부터 받은 CCTV 자료와 관련자들의 진술 등을 통해 수사를 진행했다"며 "버스노조 등이 제출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형사적인 내용은 이미 수사에 반영했으며, 나머지 부분들은 시와 버스회사 간 내부적인 문제로 수사기관이 개입할 필요성이 없는 내용들이었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도 "모든 사항을 객관적으로 검토한 결과 해당 버스회사의 조직적인 개입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수사를 의뢰했고, 이미 관내 모든 회사의 CCTV 분석을 마쳤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완장치 마련에 착수했다"고 해명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지난 26일 대전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시내버스 수입금 수백만 원을 빼돌린 대전의 A버스회사 간부 최 모(41) 씨 등 6명을 절도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최 씨 등 A사 간부 및 직원 6명은 버스 수입금을 정산하는 과정에서 시 소속 감독관의 감시가 소홀한 틈을 이용해 현금 일부를 상의 주머니에 넣는 수법으로 지난해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모두 400회에 걸쳐 수입금 500여만 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
대전시 시내버스노동조합 및 동종업계 종사자, 일부 시 소속 감독관 등은 이에 대해 회사 직원 개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측의 조직적인 개입에 중점을 맞춰 수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관련 자료를 지방경찰청에 제출하며 수사 확대를 요구한 바 있다.
실제 수년간 시 소속 수입금 감독관으로 업무를 담당했던 한 직원은 "현재 감독관들은 시의 묵인 속에 수익금 정산내역과 근무일지를 매일 보고하지 않고 있다"며 "버스회사의 수익금 불법 전용건을 보고해도 매번 시에서 묵살하거나 확인조차 하지 않았다. 감독관과 버스회사 간 유착문제와 시의 잘못된 관행을 고치지 않는 한 이런 일들은 근절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어떤 감독관들은 버스회사로부터 명절선물을 받거나 심지어 축·부의금까지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고백했다.
이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시로부터 받은 CCTV 자료와 관련자들의 진술 등을 통해 수사를 진행했다"며 "버스노조 등이 제출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형사적인 내용은 이미 수사에 반영했으며, 나머지 부분들은 시와 버스회사 간 내부적인 문제로 수사기관이 개입할 필요성이 없는 내용들이었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도 "모든 사항을 객관적으로 검토한 결과 해당 버스회사의 조직적인 개입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수사를 의뢰했고, 이미 관내 모든 회사의 CCTV 분석을 마쳤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완장치 마련에 착수했다"고 해명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