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멸강나방 유충이 청주시 흥덕구 죽림동 192번지 일대에서 발견된 가운데 멸강나방 유충이 벼를 갉아먹고 있다. 이성희 기자 lsh77@cctoday.co.kr |
||
멸강나방 유충이 청주에 창궐 농작물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어 시급한 방제가 요구되고 있다.
청주시 흥덕구 죽림동 192번지에 거주하는 이한광(72) 씨는 지난 26일 집 뒷산에서 내려오는 검은벌레떼의 습격에 소스라치게 놀랐다.
검은 몸통에 갈색 입을 가진 이 벌레는 수 만 마리씩 떼지어 기어다니며 닥치는데로 풀을 갉아먹었다.
이 씨는 동주민센터에 도움을 요청했고, 주말 내내 이어진 동주민센터의 긴급방제로 거주지 인근의 벌레떼는 퇴치했지만 29일 이 벌레떼는 이 씨가 경작하고 있는 논의 벼를 갉아먹기 시작했다.
29일 김길하 교수(충북대 식물의학과)와 이 씨 집 주변을 확인한 결과 문제의 벌레는 멸강나방 유충으로 밝혀졌다. 멸강나방 유충은 길이 2~3㎝로 검은색을 띠고 무리지어 생활하며 주로 벼와 옥수수 등을 먹는다.
식욕이 왕성해 농작물에 발생하면 큰 피해를 준다. 또한 주택가에 발생하면 주민들에게 심한 혐오감을 일으키기도 한다.
실제 지난 1994년 대전 한복판인 둔산지역에서 크게 발생해 인근 아파트 주민들에게 큰 피해를 주기도 했다. 멸강나방은 중국에서 저기압을 타고 우리나라로 넘어와 대량 번식하면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교수는 “이 씨 집 주변의 멸강나방 유충은 국지적이긴 하지만 대발생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개체수가 많은 편”이라며 “1년에 2~3세대 주기를 가지는 만큼 시급한 방제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1~2개월 뒤 성충이 된 나방들이 다시 번식을 하게돼 피해범위가 널리 확산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이어 “유충들이 최초 발생지 주변의 풀을 모두 먹어치워 서식환경이 나빠지자 이 씨의 집과 논 방향으로 대이동을 시작한 것 같다”며 “유충들이 최초로 발생한 지역까지 충분히 방제해야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