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 실용노선에 집중하며 친(親) 서민 행보를 보이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이 ‘대운하 포기’, ‘생계형 운전자에 대한 특별사면’ 등을 언급하며 보폭을 더욱 넓히고 있다.
청와대 안팎에선 이 대통령이 다음달 중순이후 개각 등 인적 쇄신을 통한 국정변화를 가져올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어 개각 범위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대통령은 29일 오전 제18차 라디오·인터넷 연설을 통해 “대운하 문제가 정치적 쟁점이 돼 국론을 분열시킬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한 대운하 사업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면서 “사실 대운하의 핵심은 한강과 낙동강을 연결하는 것인 데 우리 정부에서는 그걸 연결할 계획도 갖고 있지 않고 제 임기 내에는 추진하지 않겠다”고 대운하 추진 포기를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해선 지속 추진 의사를 밝히면서 “지난 5년간 평균으로 보면, 연간 홍수피해가 2조 7000억 원이고, 복구비가 4조 3000억 원”이라면서 “물도 풍부하게 확보하고 수질도 개선하고 생태환경과 문화도 살리면서 국토의 젖줄인 강의 부가가치도 높이면, 투입되는 예산의 몇 십 배 이상의 가치를 얻을 수 있다”고 사업 타당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소통과 통합의 문제에 대해서도 향후 광폭행보를 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제가 얘기하는 중도 실용도 무슨 거창한 이념을 이야기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갈등하며 분열하지 말고, 국가에 도움이 되고 특히 서민과 중산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우리의 마음을 모으자는 것”이라면서 “(일부 국민이 제안한) 벌점 등으로 면허가 취소된 생계형 직업운전자들에 대해서는 특별사면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구체적 방안을 제시했다.
이동관 대변인은 “민생사범 특별사면 시기는 8·15 광복절로 보면 될 것 같고 폭과 규모는 지금부터 논의해야 하는 상황”이라면서 “서민이 생활하는 데 불편함을 겪는 것, 작은 실수로 인한 것들이 많아 이에 대한 진정과 건의가 많았다”고 사면 언급 배경을 설명했다.
이 대통령이 소통과 통합에 대한 행보를 구체화 하면서 집권 2년차 개각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청와대는 개각 등에 대해 함구하고 있지만 법무부 장관이 이미 사의를 표명하는 등 일부 국무위원 교체 가능성이 높아 개각 폭에 관심이 모아진다. 청와대 관계자는 “개각에 대해선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답이 나오지 않겠느냐”고 언급해 사실상 개각 가능성을 시사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청와대 안팎에선 이 대통령이 다음달 중순이후 개각 등 인적 쇄신을 통한 국정변화를 가져올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어 개각 범위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대통령은 29일 오전 제18차 라디오·인터넷 연설을 통해 “대운하 문제가 정치적 쟁점이 돼 국론을 분열시킬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한 대운하 사업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면서 “사실 대운하의 핵심은 한강과 낙동강을 연결하는 것인 데 우리 정부에서는 그걸 연결할 계획도 갖고 있지 않고 제 임기 내에는 추진하지 않겠다”고 대운하 추진 포기를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해선 지속 추진 의사를 밝히면서 “지난 5년간 평균으로 보면, 연간 홍수피해가 2조 7000억 원이고, 복구비가 4조 3000억 원”이라면서 “물도 풍부하게 확보하고 수질도 개선하고 생태환경과 문화도 살리면서 국토의 젖줄인 강의 부가가치도 높이면, 투입되는 예산의 몇 십 배 이상의 가치를 얻을 수 있다”고 사업 타당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소통과 통합의 문제에 대해서도 향후 광폭행보를 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최근 제가 얘기하는 중도 실용도 무슨 거창한 이념을 이야기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갈등하며 분열하지 말고, 국가에 도움이 되고 특히 서민과 중산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우리의 마음을 모으자는 것”이라면서 “(일부 국민이 제안한) 벌점 등으로 면허가 취소된 생계형 직업운전자들에 대해서는 특별사면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구체적 방안을 제시했다.
이동관 대변인은 “민생사범 특별사면 시기는 8·15 광복절로 보면 될 것 같고 폭과 규모는 지금부터 논의해야 하는 상황”이라면서 “서민이 생활하는 데 불편함을 겪는 것, 작은 실수로 인한 것들이 많아 이에 대한 진정과 건의가 많았다”고 사면 언급 배경을 설명했다.
이 대통령이 소통과 통합에 대한 행보를 구체화 하면서 집권 2년차 개각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청와대는 개각 등에 대해 함구하고 있지만 법무부 장관이 이미 사의를 표명하는 등 일부 국무위원 교체 가능성이 높아 개각 폭에 관심이 모아진다. 청와대 관계자는 “개각에 대해선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답이 나오지 않겠느냐”고 언급해 사실상 개각 가능성을 시사했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