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학부모연대 회원들이 29일 대전시청에서 대안교육에 대한 학부모 설문조사를 발표하고 있다. 김상용 기자 ksy21@cctoday.co.kr  
 
학교자율화 조치 등 이명박 정부 들어 새롭게 추진되는 이른바 ‘MB식 교육정책 기조’에 대해 대전지역 학부모 상당수가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학부모연대에 따르면 지난달 20일부터 지난 10일까지 대전지역 초·중·고 학부모 528명을 대상으로 ‘학부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 정부의 교육정책이 잘하고 있는가’란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40.6%가 ‘보통’이라고 답한 가운데 51.1%는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잘하고 있다’는 답변은 8.4%에 그쳤다.

또 응답자의 71.3%가 ‘현 정부 들어 아이교육시키기가 더욱 어려워졌다’고 답했으며, 수월해졌다고 답한 응답자는 4.9%에 머물렀다.

‘현 정부 들어 아이의 미래에 희망이 생겼나’란 질문에 대해선 응답자의 68.7%가 ‘그렇지 않다’고 답한 가운데 ‘그렇다’란 답변은 5.5%에 그쳐 현재 교육정책 전반에 대한 대전 학부모들의 체감도가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대학등록금에 대한 현 정부의 정책기조에 대한 질문에서 응답자의 73.5%가 부정적 평가를 내렸으며, 사교육비 절감정책은 응답자의 65.8%가, 자율형사립고 확대 정책은 응답자의 53.9%가 잘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일제고사, 수능성적 공개 반대(50.5%), 영어몰입교육 반대(51.6%) 등 이른바 MB식 교육정책 기조에 대해 부정적인 기류가 강했다.

또 정부의 학교자율화 추진계획에 대해 응답자의 89.9%가 ‘들어봤으나 잘 모른다’, ‘들어보지 못했다’고 답해 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학교자율화 계획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학부모 가운데서 40%가 ‘입시경쟁 심화로 반대한다’는 입장을 펴 학교자율화 정책을 아는 학부모일수록 부정적 의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을 시키는 이유로 초등학생 학부모들의 경우 ‘적성과 소질계발(44.6%)’를 가장 많이 꼽았고, 중학교 학부모는 ‘선행학습(29.2%), 학교수업 따라가기 위해(26.3%) 순으로 나타났다.

또 고교 학부모들은 ‘선행학습을 위해’(30.1%), ‘적성과 소질계발(27.6%) 순으로 응답해 상급학교로 올라갈수록 선행학습을 위해 사교육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등 교육정책의 지역교육청 이관에 대해선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팽팽히 맞섰으며, 대학입시정책의 대학교육협의회 이관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48.5%가 ‘보통’이라며 평가를 유보했다.

이 밖에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공립형 대안학교에 대해 응답자의 52.8%가 ‘현 제도권 교육의 문제로 인해 불가피하게 생겨날 수 밖에 없다’고 판단했으며, 응답자 2명 중 1명은 ‘교육청과 시청이 나서서 공립 대안학교 설립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47.9%)고 답했다.

이번 학부모 설문조사를 실시한 대전학부모연대는 지난해 11월 대전지역 학부모와 학교운영위원등 교육 관련 인사들이 모여 공식 발족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