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에 약학대가 신설된다.
또 대전은 지난 1982년 이후 동결됐던 약학대 정원(40명)이 50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보건복지가족부는 29일 오는 2011학년도부터 약학대 정원을 현재 1210명에서 1600명으로 늘린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미래성장 동력인 제약산업을 육성키 위해 전문연구인력을 양성, 배출할 필요가 있고 약대 6년제 시행으로 2009~2010년, 약대 신입생을 선발하지 않게 돼 일시적인 약사인력 부족이 우려돼 중장기적 충원과 정책변화 등을 고려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그동안 약대가 없었던 충남과 대구, 인천, 경남, 전남 등 5개 시·도에 각각 정원 50명씩 배정해 이들 지역에서 약학대 신설이 가능해졌다.
또 약사인력이 부족한 대전(10명)과 경기(100명), 부산(20명), 강원(10명)에 잔여 정원이 배정됐다.
복지부는 오는 2030년까지 약사 공급 및 수요체계를 예측해 증원 규모를 산출하고 현 시·도별 약대 정원을 인구 수와 최근 3년간 건강보험 조제건수, 평균 약국 수 등 약사 수요를 결정하는 배분 변수의 시·도별 비중을 비교해 증원 규모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의 이날 약학대 정원 조정안이 발표돼 충남지역 대학들의 약대 신설 경쟁이 뜨거워질 전망이다.
복지부는 시·도별 약학대 신설 선정과 관련해 산업 및 학문과 연계 발전해 시너지효과가 를 창출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대학을 선정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에 따라 의대와 병원을 갖춘 순천향대와 단국대가 '2강'을 형성하면서 서로 간에 치열한 접전이 벌어질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대전에서는 충남대 약학대가 현재 40명 정원에서 10명이 늘어난 50명으로 증원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약대 신설 경쟁에 가세했던 을지대는 분루를 삼킬 수 밖에 없게 됐다.
또 충북은 이번에 신규 배정이 없어 기존 50명인 약학대 정원이 그대로 유지돼 약대 신설을기대했던 청주대 등은 실망스럽다는 분위기다.
지역대 관계자는 "약학대 정원 증원으로 대전과 충남, 충북이 각각 50명으로 맞춰지게 됐다"며 "기존 약대가 없었던 충남지역 대학들이 유리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또 대전은 지난 1982년 이후 동결됐던 약학대 정원(40명)이 50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보건복지가족부는 29일 오는 2011학년도부터 약학대 정원을 현재 1210명에서 1600명으로 늘린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미래성장 동력인 제약산업을 육성키 위해 전문연구인력을 양성, 배출할 필요가 있고 약대 6년제 시행으로 2009~2010년, 약대 신입생을 선발하지 않게 돼 일시적인 약사인력 부족이 우려돼 중장기적 충원과 정책변화 등을 고려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그동안 약대가 없었던 충남과 대구, 인천, 경남, 전남 등 5개 시·도에 각각 정원 50명씩 배정해 이들 지역에서 약학대 신설이 가능해졌다.
또 약사인력이 부족한 대전(10명)과 경기(100명), 부산(20명), 강원(10명)에 잔여 정원이 배정됐다.
복지부는 오는 2030년까지 약사 공급 및 수요체계를 예측해 증원 규모를 산출하고 현 시·도별 약대 정원을 인구 수와 최근 3년간 건강보험 조제건수, 평균 약국 수 등 약사 수요를 결정하는 배분 변수의 시·도별 비중을 비교해 증원 규모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의 이날 약학대 정원 조정안이 발표돼 충남지역 대학들의 약대 신설 경쟁이 뜨거워질 전망이다.
복지부는 시·도별 약학대 신설 선정과 관련해 산업 및 학문과 연계 발전해 시너지효과가 를 창출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대학을 선정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에 따라 의대와 병원을 갖춘 순천향대와 단국대가 '2강'을 형성하면서 서로 간에 치열한 접전이 벌어질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대전에서는 충남대 약학대가 현재 40명 정원에서 10명이 늘어난 50명으로 증원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약대 신설 경쟁에 가세했던 을지대는 분루를 삼킬 수 밖에 없게 됐다.
또 충북은 이번에 신규 배정이 없어 기존 50명인 약학대 정원이 그대로 유지돼 약대 신설을기대했던 청주대 등은 실망스럽다는 분위기다.
지역대 관계자는 "약학대 정원 증원으로 대전과 충남, 충북이 각각 50명으로 맞춰지게 됐다"며 "기존 약대가 없었던 충남지역 대학들이 유리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