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예약민원제에 대한 재검토 목소리가 높다.
대전 지역 각 동(洞) 주민센터는 전입신고나 주민등록증발급신청 등 각종 주민등록민원을 평일 근무시간 내 신청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특정일 연장근무를 통해 민원업무를 처리하는 ‘목요예약민원제’를 실시하고 있으나, 운영방식에 대한 민원인 혼선과 직원 불만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각 자치구의 경우 평일 낮시간 동 주민센터를 찾기 어려운 민원인을 위해 특정일을 지정, 근무시간 후에도 동 주민센터 직원이 남아 업무를 처리하고 있지만 구마다 운영방식이 달라 민원인이 혼선을 빚고 있다.
A구의 경우 매주 목요일 직원의 절반이 밤 9시까지 연장근무를 실시하고 있으나, B구는 매달 첫째·셋째 목요일 예약신청에 한해 직원을 대기시키고 있다.
이처럼 예약민원제가 구마다 운영 형태를 달리하면서 이를 이용하려는 주민은 혼란에 빠질 수 밖에 없다.
퇴근 후 전입신고를 하려 했던 홍 모(30) 씨도 주민센터에 전화문의를 했지만, 오히려 해당 제도가 ‘당직제’인지 ‘예약제’인지 혼란스럽기만 했다는 반응이다.
홍 씨는 “목요일 예약민원을 신청하려하자 담당직원이 ‘가급적 일찍 올 수 없냐’고 부탁하면서 ‘사정이 여의치 않으시면 민원을 처리해주겠다’고 해 황당했다”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자 불시에 민원을 신청해 초과근무를 해달라는 주민도, 육아문제 등 가정소사를 하소연하는 공무원도 서로 미안한 상황에 이르게 됐다.
또 근무방식에 있어서도 우려와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특정일 동 주민센터 직원에 대해 일괄 강제근무를 시행하는 경우 가뜩이나 인력과 재정난에 허덕이는 구가 불필요하게 업무량만 늘리고 초과근무수당만 허비하는 것 아니냐는 것.
반대로 민원인 예약이 있을 때만 대기하는 경우 관련 직원에 대한 불안한 초과근무로, 인력 낭비 등을 호소하는 직원 불만이 고조되는 상황이다.
결국 일각에서는 한 자치단체 사례처럼 도심 한복판 대형 마트에 운영 중인 ‘365일 민원봉사실’과 유사하게 민원인과 주민센터 직원 모두의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고정적인 민원서비스 제고 활동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
대전 지역 각 동(洞) 주민센터는 전입신고나 주민등록증발급신청 등 각종 주민등록민원을 평일 근무시간 내 신청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특정일 연장근무를 통해 민원업무를 처리하는 ‘목요예약민원제’를 실시하고 있으나, 운영방식에 대한 민원인 혼선과 직원 불만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각 자치구의 경우 평일 낮시간 동 주민센터를 찾기 어려운 민원인을 위해 특정일을 지정, 근무시간 후에도 동 주민센터 직원이 남아 업무를 처리하고 있지만 구마다 운영방식이 달라 민원인이 혼선을 빚고 있다.
A구의 경우 매주 목요일 직원의 절반이 밤 9시까지 연장근무를 실시하고 있으나, B구는 매달 첫째·셋째 목요일 예약신청에 한해 직원을 대기시키고 있다.
이처럼 예약민원제가 구마다 운영 형태를 달리하면서 이를 이용하려는 주민은 혼란에 빠질 수 밖에 없다.
퇴근 후 전입신고를 하려 했던 홍 모(30) 씨도 주민센터에 전화문의를 했지만, 오히려 해당 제도가 ‘당직제’인지 ‘예약제’인지 혼란스럽기만 했다는 반응이다.
홍 씨는 “목요일 예약민원을 신청하려하자 담당직원이 ‘가급적 일찍 올 수 없냐’고 부탁하면서 ‘사정이 여의치 않으시면 민원을 처리해주겠다’고 해 황당했다”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자 불시에 민원을 신청해 초과근무를 해달라는 주민도, 육아문제 등 가정소사를 하소연하는 공무원도 서로 미안한 상황에 이르게 됐다.
또 근무방식에 있어서도 우려와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특정일 동 주민센터 직원에 대해 일괄 강제근무를 시행하는 경우 가뜩이나 인력과 재정난에 허덕이는 구가 불필요하게 업무량만 늘리고 초과근무수당만 허비하는 것 아니냐는 것.
반대로 민원인 예약이 있을 때만 대기하는 경우 관련 직원에 대한 불안한 초과근무로, 인력 낭비 등을 호소하는 직원 불만이 고조되는 상황이다.
결국 일각에서는 한 자치단체 사례처럼 도심 한복판 대형 마트에 운영 중인 ‘365일 민원봉사실’과 유사하게 민원인과 주민센터 직원 모두의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고정적인 민원서비스 제고 활동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