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 내 벤처기업들이 시제품 제작이나 제품 사전테스트 등 상용화를 위해 시간과 경비를 들여가며 외지로 나서고 있다.

첨단기술과 장비 등 탄탄한 벤처인프라 집적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할 만한 전문 지원시스템이 부실하기 때문이다.

이에 벤처기업 관계자들은 정부의 벤처기업 지원책이 막상 현장에서는 생색내기에만 그치고 있다며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대덕특구 내 기업들은 시제품 제작, 제품 사전테스트 등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를 대전이 아닌 타 지역에서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한탄하고 있다.

시제품을 만들기 위해 금형은 경기도 안산으로, 사출은 대구·구미로 보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치수 오차라도 발생시에는 전국 곳곳을 누비며 납품시한에 맞춰야 하는 실정이다.

기업인들이 그토록 원하는 시제품 제작센터는 ETRI에서 ‘연구생산집적시설’이라는 이름으로 지어질 예정이지만 현재 건설을 위한 예산만을 배정받은 채 건물 안에 들어갈 시설에 대해서는 ETRI와 벤처기업인들 사이에 이견을 보이며 표류하고 있다.

대덕특구 내 A기업 대표는 “가장 큰 문제점은 소통의 부재로 기업인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다는데 있다”며 “기업들이 요구하는 현실적인 애로사항은 반영되지 않은 채 지원기관 스스로 느끼는 문제점만을 갖고 지원이 이뤄져 기업들의 체감만족도가 매우 떨어진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또 “대덕특구는 첨단기술과 첨단장비 등 기업들이 필요로하는 인프라 조성에는 손색이 없지만 여전히 이를 제공하는 측면에서는 난처함만을 내보이는 등 ‘상생’이라는 헛 구호만 메아리 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품을 출시하기전 테스트 인증을 받는 부분도 최근 정보통신부로부터 인증기관으로 지정받은 충북테크노파크와 경기권 인증기관으로 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인들은 대덕특구 내 출연연들과 대학에 인증을 받기 전 시행하는 사전테스트 첨단장비가 있음에도 불구, 절차의 복잡성, 고비용 때문에 울며겨자먹기식으로 타지로 갈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문제로 꼽고 있다.

B기업 대표도 “기업체를 생태계를 이해하는 기업지원 전문인력이 대덕특구에는 전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기업들의 생리를 잘 알고 기업인들의 목소리를 수렴할 수 있는 창구가 마련돼야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길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