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 전국지방선거와 동시에 치러지는 대전시·충남도교육감 선거가 조기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일부 유력 후보군들 사이에서 ‘사조직 구축설과 후원설’, ‘단체장과 교육감 후보 연대설’ ‘교육감-교육의원 공조설’ 등 각종 루머가 나도는 등 벌써부터 혼탁 우려를 낳고 있다.
내년 대전교육감 선거 출마가 유력한 A 씨는 최근 사조직을 구축했다는 소문에 휩싸이고 있다.
A 씨의 사조직 구축설은 평소 A 씨와 두터운 친분을 과시하던 B 씨가 최근 모 단체를 발족하면서 사실상 A 씨의 당선을 위한 선거용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과거 대전의 모 이익단체에서 임원으로 활동했던 B 씨는 현재 교육계와 정치권에도 폭넓은 인맥을 갖춘 마당발로 알려지고 있다.
또 다른 단체는 순수 이익단체란 설과 특정인사의 당선을 겨냥한 자발적 사조직이란 의혹을 동시에 받고 있다. 이 단체의 핵심인사 중 한 명이 최근 단체장과 교육감 유력 주자들과 교감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며 내년 선거에서 이들의 측면지원에 나서지 않겠냐는 소문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일각에선 단체장과 교육감 후보들이 이 단체 임원진을 매개로 서로 선거공조를 타진하는 전략적 지렛대로 활용하고 있다는 반대의 시각도 나온다.
충남 역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내년 선거를 대비한 조직정비가 물밑 가열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충남은 교육감선거가 끝난지 두 달도 안된데다 낙선한 모 후보가 선거법 위반혐의로 구속돼 대부분 섣불리 나서기보다 정치권과 교육계 안팎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수면하에서 보폭을 넓히는 양상이다.
천안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직전 선거에서 차가운 표심을 확인한 일부 후보들이 출마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데다 아직도 선거법 위반 시비가 이어지는 탓인지 겉으로 드러내놓고 활동하는 인사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각 정당의 지방선거 공천경쟁이 본격화되는 올 하반기께 교육감 선거 주자들의 외연확대가 본격화될 것이란 관측을 내놨다.
또 다른 지역 정가 관계자는 “정치권 입장으로선 교육계 표심공략을 위해, 교육계는 정치권의 막대한 물량지원을 고려할 때 양 측간 암묵적 연대를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다만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민심이 요동치고 각 정당의 지방선거 공천과정 등을 고려할 때 일찌감치 공조를 확약하기보다 막판까지 판세에 따라 움직이는 이합집산현상이 매우 심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같은 교육계의 정치권과 조기 연대 움직임에 대해 교육계 일각에서는 경계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교육계의 한 원로는 “내년 교육감 선거가 정치권 격랑에 휩싸여 결국 지방선거의 '들러리 선거'로 격하될 우려가 크다”며 “교육감 선거가 정치권의 이전투구의 장으로 비화될 경우 정치권이 되레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비판했다.
선관위 관계자는 “사조직을 통한 사전선거운동은 엄격하게 처벌을 받게 되며 당선후에도 당선무효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일부 유력 후보군들 사이에서 ‘사조직 구축설과 후원설’, ‘단체장과 교육감 후보 연대설’ ‘교육감-교육의원 공조설’ 등 각종 루머가 나도는 등 벌써부터 혼탁 우려를 낳고 있다.
내년 대전교육감 선거 출마가 유력한 A 씨는 최근 사조직을 구축했다는 소문에 휩싸이고 있다.
A 씨의 사조직 구축설은 평소 A 씨와 두터운 친분을 과시하던 B 씨가 최근 모 단체를 발족하면서 사실상 A 씨의 당선을 위한 선거용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과거 대전의 모 이익단체에서 임원으로 활동했던 B 씨는 현재 교육계와 정치권에도 폭넓은 인맥을 갖춘 마당발로 알려지고 있다.
또 다른 단체는 순수 이익단체란 설과 특정인사의 당선을 겨냥한 자발적 사조직이란 의혹을 동시에 받고 있다. 이 단체의 핵심인사 중 한 명이 최근 단체장과 교육감 유력 주자들과 교감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며 내년 선거에서 이들의 측면지원에 나서지 않겠냐는 소문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일각에선 단체장과 교육감 후보들이 이 단체 임원진을 매개로 서로 선거공조를 타진하는 전략적 지렛대로 활용하고 있다는 반대의 시각도 나온다.
충남 역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내년 선거를 대비한 조직정비가 물밑 가열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충남은 교육감선거가 끝난지 두 달도 안된데다 낙선한 모 후보가 선거법 위반혐의로 구속돼 대부분 섣불리 나서기보다 정치권과 교육계 안팎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수면하에서 보폭을 넓히는 양상이다.
천안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직전 선거에서 차가운 표심을 확인한 일부 후보들이 출마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데다 아직도 선거법 위반 시비가 이어지는 탓인지 겉으로 드러내놓고 활동하는 인사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각 정당의 지방선거 공천경쟁이 본격화되는 올 하반기께 교육감 선거 주자들의 외연확대가 본격화될 것이란 관측을 내놨다.
또 다른 지역 정가 관계자는 “정치권 입장으로선 교육계 표심공략을 위해, 교육계는 정치권의 막대한 물량지원을 고려할 때 양 측간 암묵적 연대를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다만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민심이 요동치고 각 정당의 지방선거 공천과정 등을 고려할 때 일찌감치 공조를 확약하기보다 막판까지 판세에 따라 움직이는 이합집산현상이 매우 심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같은 교육계의 정치권과 조기 연대 움직임에 대해 교육계 일각에서는 경계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교육계의 한 원로는 “내년 교육감 선거가 정치권 격랑에 휩싸여 결국 지방선거의 '들러리 선거'로 격하될 우려가 크다”며 “교육감 선거가 정치권의 이전투구의 장으로 비화될 경우 정치권이 되레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비판했다.
선관위 관계자는 “사조직을 통한 사전선거운동은 엄격하게 처벌을 받게 되며 당선후에도 당선무효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