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 원권 지폐가 23일부터 시중에 유통된다. 한국은행이 새 고액권을 발행한 것은 1973년 6월 1만 원권 이후 36년 만이다.

한은은 이날 각 금융기관에 지점당 수 억 원 규모로 5만 원권을 공급하는 한편 한은 발권국 및 각 지역본부에서는 오전 9시부터 일반인을 대상으로 1인 당 100만 원 한도로 신권 교환을 해준다. ▶관련기사 5면

이 가운데 일련번호 최고 앞자리 100번까지는 화폐박물관에 전시하고, 101번부터 20000번 까지는 내달부터 두 달동안 인터넷 경매를 통해 일반인에게 공급할 계획이다.

시중은행들은 새 고액권 유통에 맞춰 주요 지점마다 5만 원권 사용이 가능한 현금자동화기기(ATM)를 발빠르게 설치하며 새 화폐 유통에 대비하고 있다. 5만 원권 발행으로 사회 전반에도 순기능과 역기능이 혼재된 큰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일단 지금까지 널리 통용되던 10만 원권 수표의 사용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매년 수천억 원이 소요되던 수표 발행·취급 비용이 크게 절감될 것으로 관계자들은 내다봤다.

반면 최근의 유동성 과잉과 맞물린 인플레이션 우려와 함께, 거액 뇌물수수, 위폐발생 요인 등에 대한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 특히 한은은 새 5만 원권의 위폐 발생에 대비해 식별 포인트와 요령 등이 담긴 공문을 각 금융기관에 배포하며 방지에 나섰다. 시중은행들도 지난주부터 5만 원권을 인식할 수 있는 위폐감별 계수기를 영업점에 배치하는 등 자구책을 마련 중이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