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검찰총장과 국세청장에 충청 출신이 내정된 것을 두고 청와대 안팎에서 여러 가지 관측이 나오면서 향후 개각 등에 충청 출신이 약진할 지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청와대는 이번 인선에 대해 지역안배보다는 능력위주의 ‘실용인사’라는 점에 무게를 두면서도 인선 이후 직접 당사자가 된 충청권 반응에 촉각을 세우는 등 민감한 분위기다.

청와대가 소위 4대 권력기관(국정원, 검찰, 경찰, 국세청) 수장 중 2명을 충청권 인사로 채우면서 향후 인사에도 충청권이 약진할 것이란 희망섞인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실제 한나라당 쇄신위에선 ‘충청 총리론’을 앞세워 인적 쇄신을 건의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고 이를 이명박 대통령이 신중하게 받아 들일 것이란 관측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다만 이 대통령이 ‘국면전환용 개각은 없다’고 선언한 만큼 조기 개각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 대통령이 이번 인선에 대해 ‘조직에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인사를 하게 된 것’이라고 언급한 부분도 충청 출신 인사 발탁에 긍정적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동관 대변인은 22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께서는 이번 검찰총장·국세청장의 인선과 관련해 ‘조직에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인사를 하게 된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고 밝혔다.

충청권 출신 중앙부처 인사들이 그동안 조직라인에서 소외됐던 점을 감안하면 이 대통령의 조직개혁 의지가 오히려 충청인사 발탁에 득이 될 것이란 해석이다.

반면 충청권 출신이 검찰·국세청의 수장을 맡으면서 향후 개각 등에 충청 인사가 배제될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특히 총리를 비롯해 주요 부처 장관 인선에 충청권 인사 발탁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향후 개각 등에 이번 인선이 어떤 영향을 줄 지도 관심사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