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A 군의 할머니 김 모(59) 씨는 “건너 동네에 유치원이 있긴 하지만 거리도 멀고 돈도 많이 들어 꿈도 못 꾼다”며 “학교에 들어가도 다른 아이들에게 뒤처질 게 뻔한 손주를 보면 눈물 밖에 안 나온다”고 안타까움을 호소했다.
‘교육도시’를 자처하는 대전이지만 연간 수 백 명에 달하는 미취학 아동들이 배움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들 어린 꿈나무들은 행정동(洞) 내에 정규교육과정의 일부인 유치원 자체가 존재하지 않아 철저히 교육의 사각지대로 내몰리는 상황이다. 이러한 세태에도 이들의 교육을 도와야 할 관계기관들은 제대로 된 수요파악도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보가 대전 동·서부교육청의 유치원 현황을 통해 분석한 결과, 관내 행정동 가운데 공·사립 유치원이 단 한 곳도 설치되지 않은 동은 동구의 인동과 대동, 소제동, 중구의 문창동, 오류동, 대덕구의 석봉동 등 총 6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초등학교는 있는데 유치원이 존재하지 않는 동은 대동, 문창동, 오류동, 석봉동 등 네 곳이었다.
이들 4개 동은 미취학 아동들의 수요가 있는데도 유치원이 설립돼 있지 않다는 것. 특히 이곳은 모두 저소득층 자녀들이 많이 몰려 있는 지역으로 원비가 비싼 사립유치원이 들어설 여건이 되지 않아 공립유치원의 설립이 절실하다.
구청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올 2월 현재 이 4개동에 거주하고 있는 유치원 취학대상(만 3~5세) 아동은 모두 764명이었다. 이들 중 일부는 다른 동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등을 통해 교육을 해결하고 있지만 상당수는 배움의 기회 자체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지역에서 유치원을 세워달라는 민원이 제기되지만 예산, 인력 등을 분석해서 따져봐야 한다”며 “최근엔 신설 초등학교에 유치원 1~2개반을 같이 짓고 있지만 예전에 지어진 학교들은 여분 교실이 없으면 공립유치원을 설치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세태에 철저한 수요조사를 통한 미취학 아동들의 학습기회 확보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동구의 한 학부모는 “경제사정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낙후될 경우 아이들을 위한 공·사립 교육시설도 여건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라며 “정규교육과정이 하나인 유치원 교육만이라도 제대로 받을 수 있게 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