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들이 교수 연구비의 부당집행 근절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정부에서 교수들의 쌈짓돈 관행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불식시키기 위해 연구비 집행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비 관리 인증제'를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지역대학들은 교수들의 반발을 우려해 이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과부는 연구비 관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인다는 취지로 대학별로 연구비 관리체계를 평가해 일정 수준의 기준을 충족했을 경우 연구비관리 우수기관으로 인증하는 제도를 올해부터 확대, 시행하고 있다.

이는 교수들의 연구비 부당집행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어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연구비를 관리하는 대학을 선정, 인증절차를 통해 각종 혜택과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연구비 누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지역대학들은 교수들의 반발과 연구비 관리 인증을 위한 전산시스템 보완 등에 필요한 비용부담 등을 내세워 시도할 엄두를 못내고 있다.

심지어 일부 사립대들의 연구비 관리담당자들은 교과부의 '연구비 관리 인증제' 시행 여부조차 모르고 있을 정도로 연구비 집행절차의 투명성은 ‘먼 나라 얘기’로 인식하고 있다..

지역대학 중에서는 충남대가 산학종합전산시스템 정비와 내부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보완해 오는 7월까지 인증제 획득을 위한 신청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 아래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충남대도 교수들의 반발 등을 의식해 대외적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정중동(靜中動)'의 조심스러운 준비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에 반해 서울대와 한양대, 서강대 등 수도권 등지의 대학들은 이미 별도의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각종 규정을 개정하고 전산시스템을 새롭게 정비, 구축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교과부 과학기술전략과 관계자는 "연구비 관리 인증제를 받기 위해 관리체계가 구축되면 교내 지원부서의 요청과 전산시스템에 맞춰야만 해 교수들이 간섭을 많이 받게 된다"며 "하지만 연구비 집행의 투명성과 함께 절차상의 편의성도 높일 수 있어 결국에는 교수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