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도시에 국내 최대 규모의 장례단지가 조성돼 내년 1월 개장할 예정이다.
행정도시건설청은 장례식장과 화장장, 봉안당, 묘역 등을 갖춘 종합장례단지인 은하수공원을 내년 1월 개장하기 위해 내달부터 시험가동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은하수공원은 연기군 남면 고정리 일원 36만㎡ 부지에 장례식장(접객실 10개·빈소 10개·영결식장 2개·안치실 1개)과 화장장(화장로 10기·유족대기실 10개·고별소 4개), 봉안당(2만 3000기), 잔디장, 수목장의 봉안묘역(15만 기 수용) 등을 갖추게 된다.
특히 화장장은 무연·무취의 최첨단 자동화 설비를 갖췄으며, 봉안묘역에는 국내 최초로 매장을 금지하고 화장을 전제로 하는 잔디장, 화초장, 수목장 등 자연장 묘역이 조성된다.
이를 위해 건설청은 은하수공원 개장준비단을 발족하고 민간위탁 관리업체로 선정된 ㈜후지코리아와 공동으로 화장로를 시운전한 후 가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점검 보완해 최적의 운영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건설청은 연말까지 홈페이지 개설과 사전 예약관리시스템 도입 등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공원 안에 홍보관을 설치해 ‘미래형 첨단 장사시설’을 보여주는 견학장소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은하수공원이 개장하면 행정도시 예정지 내 분묘 1만 2000여 기를 원활하게 이장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장률이 비교적 낮은 충청권의 화장문화 확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행정도시건설청의 설명이다.
은하수공원 시설 중 장례식장과 화장장, 봉안당은 SK그룹에서 500억 원을 투자해 국가에 기부하는 사업이며, 현재 80%의 공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연기군이 장사시설의 운영과 관리는 관할 지자체의 고유사무인 만큼 운영·관리권을 군으로 넘겨야 한다고 주장해 장례단지 운영·관리권을 놓고 행정도시건설청과 군이 첨예한 갈등을 겪을 양상이다.
이에 대해 건설청 관계자는 “국내 장사시설의 운영사례를 참고해 이용대상, 시설 사용료 기준 등 전반적인 운영·관리방안을 결정해 나갈 예정”이라며 “세종시 설립 전까지 한시적으로 민간에게 위탁관리 한 후 새로 설치되는 지자체(세종시)에 시설을 이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기=황근하 기자 guesttt@cctoday.co.kr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행정도시건설청은 장례식장과 화장장, 봉안당, 묘역 등을 갖춘 종합장례단지인 은하수공원을 내년 1월 개장하기 위해 내달부터 시험가동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은하수공원은 연기군 남면 고정리 일원 36만㎡ 부지에 장례식장(접객실 10개·빈소 10개·영결식장 2개·안치실 1개)과 화장장(화장로 10기·유족대기실 10개·고별소 4개), 봉안당(2만 3000기), 잔디장, 수목장의 봉안묘역(15만 기 수용) 등을 갖추게 된다.
특히 화장장은 무연·무취의 최첨단 자동화 설비를 갖췄으며, 봉안묘역에는 국내 최초로 매장을 금지하고 화장을 전제로 하는 잔디장, 화초장, 수목장 등 자연장 묘역이 조성된다.
이를 위해 건설청은 은하수공원 개장준비단을 발족하고 민간위탁 관리업체로 선정된 ㈜후지코리아와 공동으로 화장로를 시운전한 후 가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점검 보완해 최적의 운영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건설청은 연말까지 홈페이지 개설과 사전 예약관리시스템 도입 등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공원 안에 홍보관을 설치해 ‘미래형 첨단 장사시설’을 보여주는 견학장소로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은하수공원이 개장하면 행정도시 예정지 내 분묘 1만 2000여 기를 원활하게 이장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장률이 비교적 낮은 충청권의 화장문화 확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행정도시건설청의 설명이다.
은하수공원 시설 중 장례식장과 화장장, 봉안당은 SK그룹에서 500억 원을 투자해 국가에 기부하는 사업이며, 현재 80%의 공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연기군이 장사시설의 운영과 관리는 관할 지자체의 고유사무인 만큼 운영·관리권을 군으로 넘겨야 한다고 주장해 장례단지 운영·관리권을 놓고 행정도시건설청과 군이 첨예한 갈등을 겪을 양상이다.
이에 대해 건설청 관계자는 “국내 장사시설의 운영사례를 참고해 이용대상, 시설 사용료 기준 등 전반적인 운영·관리방안을 결정해 나갈 예정”이라며 “세종시 설립 전까지 한시적으로 민간에게 위탁관리 한 후 새로 설치되는 지자체(세종시)에 시설을 이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기=황근하 기자 guesttt@cctoday.co.kr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