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속도로 이용자의 편의와 효율화를 위해 개통된 하이패스가 잦은 오작동 및 차단기 이상사고 등의 발생으로 운전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전우용 기자 yongdsc@cctoday.co.kr  
 

고속도로 이용자들의 편의 증진과 효율화를 위해 출발한 하이패스에 대해 전면 개통 1년 6개월이 지나도록 각종 제도적·시설적 문제점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지만, 정작 도로공사는 이를 외면한 채 돈벌이에만 급급한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다.

실제 하이패스 차로 차단기의 경우 지난 2개월 동안 연속해서 발생한 사망사고를 비롯해 90여 건의 중대형 사고, 그 외 수천 건의 오작동 사고가 발생했지만, 도로공사 측은 빗발치는 차단기 제거 민원을 무시하고 있다.

도로공사 측은 하이패스 차단기를 유지하는 가장 큰 이유 가운데 하나는 요금미납 방지을 위해서다.

그러나 매일 수천 건이나 발생하는 기계적 오작동과 카드 미충전, 단말기 전원 오류 등의 문제로 차단기 이상이 발생하고 있어 운전자들에게는 이 차단기가 공포의 대상이다.

돈벌이를 위해 운전자의 생명안전마저도 외면하고 있는 꼴이다.

지난달 초 고속도로 하이패스 차로를 통과하던 운전자 A(49) 씨는 차단기 작동하지 않아 급히 차를 세우고 정산을 위해 차에서 내렸다가 뒤따라오던 버스에 치어 숨졌다.

앞서 열흘 전에도 하이패스 차로에서 화물차 운전자가 단말기 전원이 빠져 차단기가 올라가지 않아 급정거했다가 추돌사고로 숨지는 등 하이패스 차로에서의 사망사고가 잇따랐다.

도로공사 측은 하이패스 차단기 오작동은 전체 작동의 0.001%에 불과하다고 했지만, 이는 하루 100만 대 이상 통과하는 하이패스에서 매일 1000건이 넘는 오작동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운전자 윤 모(40·대전시 유성구) 씨는 “하이패스 차단기가 통과장소에서 너무 가까워 만약 작동을 하지 않으면 위험을 무릅쓰고 급정거를 해야 하고, 실제 내 주변에서도 차단기 때문에 사고를 경험한 사람이 세 명이나 된다”며 “각종 사고 소식이 끊이지 않으면서 처음 하이패스를 장착하고 무정차로 통과하는 즐거움이 지금은 무사히 빠져나갈 때까지 공포로 변했다”고 말했다.

또 운전자들은 도로공사에 개선을 요구했다가, 오히려 공사 측으로부터 ‘운전자가 스스로 조심해야 한다’는 무책임한 답변만 듣고 분개하기도 했다.

이 같은 중요 안전문제의 개선은 외면하고 있는 도로공사지만 돈벌이에 대해서는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도로공사는 지난 3월 하이패스 후불제카드 시행 직후 그동안 실시하던 충전할인 서비스를 은근슬쩍 폐지했다.

또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혜택이 주어지는 장애인들은 아직까지도 하이패스를 이용할 수 없다.

도로공사 측은 관계 법령 개정과 전용 단말기 개발 등이 추진중이라고 했지만, 관계자가 밝힌 중요 이유 가운데 하나는 부정사용에 따른 요금 누수라는 것.

이 소식을 접한 한 시민은 “도로공사 측이 이를 시행하기도 전에 장애우들과 그 주변사람들은 잠재적 양심불량, 부정 사용자로 간주하고 있는 꼴”이라며 “지금까지도 셀 수 없는 문제점이 도출됐지만 도로공사가 가장 발빠르게 움직이는 것은 돈벌이인것 같아 불쾌하다”고 질타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