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마다 치러지는 지방선거는 시기적으로 정부 여당에 대한 중간평가 형식으로 치러졌다.
내년 6·2 지방선거 역시 이명박 정부 출범 2년 4개월여 만에 실시된다는 점에서 정부와 여당은 민심의 시험대에 오를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역대 지방선거의 결과로 볼 때 정부 여당은 중간 평가 성격의 지방선거에서 좋지 못한 성적을 올렸다.
2002년 지방선거에서는 DJ정부에 대한 평가로 수도권에서 한나라당이 압승을 거뒀다. 대전과 충남에서도 한나라당 소속의 염홍철 후보와 자민련 소속의 심대평 후보가 각각 당선됐다.
2006년 지방선거에서 노무현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로 한나라당이 수도권에서 싹쓸이했듯 대전·충남에서도 한나라당 소속의 박성효 후보와 이완구 후보가 시장과 지사로 입성했다.
유독 정부 여당은 지방선거에서 필패(必敗) 징크스를 이어가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지난 5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술렁이고 있는 민심이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충분한 데다, 노 전 대통령 서거 1년 추모일(5월 23일)이 6·2 지방선거일과 불과 열흘 간의 시차가 발생한다는 점은 정부와 여당에게 공포감 수준의 압박을 주기에 충분하다.
최근 한나라당 소장파 의원들이 당의 쇄신을 강조하면서 정부의 쇄신을 주장하는 것도 내년 지방선거 패배와 2012년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패배에 대한 위기감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는 이명박 정부의 중간평가이자 돌아오는 총선과 대선의 전초전이라고 볼 때 선거 결과에 따라 향후 대선 판세까지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 때문에 한나라당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필패(必敗) 징크스’를 깨기 위한 최상의 카드를 들고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나라당은 이런 맥락에서 추모정국 등 돌발 변수를 돌파할 수 있는 ‘거물급 인물’ 찾기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들은 앞다퉈 내년 지방선거를 ‘이명박 정부의 중간평가’로 규정하고 총공세를 펼칠 기세다.
민주당은 최적의 인물에 추모정국과 정부 여당에 대한 반감이라는 ‘엔진’을 단다면 승산 있는 게임을 펼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예단할 수는 없지만, 내년 지방선거는 단단한 보-혁 구도가 짜여질 것으로 보인다”며 “큰 과오없는 검증된 인물을 내놓는다면 민심이 도와줄 것”이라고 진단했다.
강기갑 민주노동당 대표는 17일 부산시의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내년 지방선거는 이명박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을 갖고 있고 이에 따라 진보진영이 연합해 한나라당을 심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지방선거가 정당의 이념 싸움과 바람에 휘둘리는 정치판으로 변질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지방자치를 이끌 선량을 뽑기 위한 지방선거가 거대 정당들의 개입으로 전국 패권을 다투는 기회로 악용된다면 지방자치의 근간이 흔들리게 된다”며 “감정을 부추기는 정치권의 치밀한 전략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유권자들의 성숙된 의식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내년 6·2 지방선거 역시 이명박 정부 출범 2년 4개월여 만에 실시된다는 점에서 정부와 여당은 민심의 시험대에 오를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역대 지방선거의 결과로 볼 때 정부 여당은 중간 평가 성격의 지방선거에서 좋지 못한 성적을 올렸다.
2002년 지방선거에서는 DJ정부에 대한 평가로 수도권에서 한나라당이 압승을 거뒀다. 대전과 충남에서도 한나라당 소속의 염홍철 후보와 자민련 소속의 심대평 후보가 각각 당선됐다.
2006년 지방선거에서 노무현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로 한나라당이 수도권에서 싹쓸이했듯 대전·충남에서도 한나라당 소속의 박성효 후보와 이완구 후보가 시장과 지사로 입성했다.
유독 정부 여당은 지방선거에서 필패(必敗) 징크스를 이어가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지난 5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술렁이고 있는 민심이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충분한 데다, 노 전 대통령 서거 1년 추모일(5월 23일)이 6·2 지방선거일과 불과 열흘 간의 시차가 발생한다는 점은 정부와 여당에게 공포감 수준의 압박을 주기에 충분하다.
최근 한나라당 소장파 의원들이 당의 쇄신을 강조하면서 정부의 쇄신을 주장하는 것도 내년 지방선거 패배와 2012년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패배에 대한 위기감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는 이명박 정부의 중간평가이자 돌아오는 총선과 대선의 전초전이라고 볼 때 선거 결과에 따라 향후 대선 판세까지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 때문에 한나라당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필패(必敗) 징크스’를 깨기 위한 최상의 카드를 들고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나라당은 이런 맥락에서 추모정국 등 돌발 변수를 돌파할 수 있는 ‘거물급 인물’ 찾기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들은 앞다퉈 내년 지방선거를 ‘이명박 정부의 중간평가’로 규정하고 총공세를 펼칠 기세다.
민주당은 최적의 인물에 추모정국과 정부 여당에 대한 반감이라는 ‘엔진’을 단다면 승산 있는 게임을 펼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예단할 수는 없지만, 내년 지방선거는 단단한 보-혁 구도가 짜여질 것으로 보인다”며 “큰 과오없는 검증된 인물을 내놓는다면 민심이 도와줄 것”이라고 진단했다.
강기갑 민주노동당 대표는 17일 부산시의회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내년 지방선거는 이명박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을 갖고 있고 이에 따라 진보진영이 연합해 한나라당을 심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지방선거가 정당의 이념 싸움과 바람에 휘둘리는 정치판으로 변질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지방자치를 이끌 선량을 뽑기 위한 지방선거가 거대 정당들의 개입으로 전국 패권을 다투는 기회로 악용된다면 지방자치의 근간이 흔들리게 된다”며 “감정을 부추기는 정치권의 치밀한 전략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유권자들의 성숙된 의식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