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최근 경찰이 시내버스 업체 직원의 수입금 횡령 사건에 대해 수사하고 있는 가운데 버스회사의 조직적인 개입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문이 예상된다. <본보 2009년 6월 16일자 5면 보도>

18일 대전시, 대전지방경찰청,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10일 대전시는 지역의 한 시내버스 업체 직원이 수입금에 손을 대고 있다는 제보에 따라 수입금 계산대에 설치된 CCTV 화면을 압수해 정밀 분석한 결과 직원들이 현금 일부를 빼돌린 혐의를 포착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이에 따라 경찰은 이 사건에 대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CCTV 상에서 수입금 정산작업을 감시하는 시 파견 직원이 한눈을 팔 때마다 버스회사 경리담당 직원이 현금을 빼돌린 정황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한 관계자는 "당시 정산업무를 담당했던 직원들을 소환해 조사하고 있으며, 시로부터 인계받은 CCTV 자료를 분석하고 있지만 녹화기간이 15일에 불과해 그 이전의 상황에 대해서는 조사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지역 내 동종 버스업계 및 시내버스노동조합 등 관련 업체 및 단체들은 "시와 경찰이 사건을 축소 은폐하고 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한 버스업체 임원은 "시내버스 요금 정산과정에서 보통 10여 명 이상이 공동으로 참여, 상호 감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직원 1~2명이 횡령하지는 못한다"며 "사건이 불거지기 전부터 '해당 업체에서 하루 평균 30만~100여만 원의 뭉칫돈이 사라지고 있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또 시내버스노동조합 관계자는 "직원 한두 명이 훔칠 성격의 돈이 아니다"라고 못 박은 뒤 "회사의 조직적인 개입이 없었다면 할 수 없는 중대한 범죄행위지만 시는 이를 사전에 알고서도 관리 소홀에 따른 문책이 두려워 사건을 은폐하려고 했다"며 경찰의 공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대전 서구 둔산동에 거주하는 시민 이 모(35) 씨도 "시민의 혈세가 버스회사로 유입된 만큼 이번 사건은 절대 가볍게 볼 사항이 아니다. 경찰은 이 사건을 철저하게 수사해 한 치의 의혹도 남기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내부고발이 있기 전에 이미 시에서 파견된 확인원들이 이번 사건을 보고해 경찰에 수사 의뢰를 한 사항"이라며 "개인비리가 아닌 회사의 조직적 개입이 있었다는 정황이 높은 만큼 시도 재발을 막기 위해 제도적 보완책 마련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