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와 서산시가 대산석유화학단지를 제도권 산업단지로 편입시켜 주요 기반시설을 보강해 가기로 했다. 연간 2조 7000억 원가량의 국세를 납부하면서도 법적지원이 가능한 산업단지가 아니라는 이유로 산업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은 전무한 불합리성을 해소하기 위한 차원이다.
중국 진출을 겨냥한 100억 달러 규모의 외자 유치 노력이 물밑에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산석유화학단지에 대한 기반시설 확충이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현안과제로 떠오른 배경도 깔려 있다.
일단 대산석유화학단지를 제도권 산단으로 편입시킬 수 있는 법적근거는 마련된 상태다.
지난해 12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개정과 함께 ‘준산업단지’ 개념이 도입돼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공장 밀집지역을 시장·군수가 준산업단지로 지정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서산시는 관계기관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대산석유화학단지를 준산업단지로 지정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 늦어도 내년 상반기까진 해법을 마련, 전력·진입도로·용수 등 산단 운영에 필요한 정부 차원의 기반시설 지원을 이끌어 낼 계획이다.
법적근거는 마련됐지만 여전히 정부 차원의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미비하고 녹지비율 확대 등 준산업단지 지정요건도 까다로워 서산시의 구상 현실화가 급물살을 타진 못하고 있지만 정부 관계부처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충남도와 서산시는 판단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대중국 수출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토탈이나 아람코 등 세계적인 석유화학기업들이 중국시장을 겨냥해 대산석유화학단지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진입로 개설, 연계도로 확충 등 대산석유화학단지 기반시설 확대를 위해 전방위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중국 진출을 겨냥한 100억 달러 규모의 외자 유치 노력이 물밑에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산석유화학단지에 대한 기반시설 확충이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현안과제로 떠오른 배경도 깔려 있다.
일단 대산석유화학단지를 제도권 산단으로 편입시킬 수 있는 법적근거는 마련된 상태다.
지난해 12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개정과 함께 ‘준산업단지’ 개념이 도입돼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공장 밀집지역을 시장·군수가 준산업단지로 지정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서산시는 관계기관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대산석유화학단지를 준산업단지로 지정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 늦어도 내년 상반기까진 해법을 마련, 전력·진입도로·용수 등 산단 운영에 필요한 정부 차원의 기반시설 지원을 이끌어 낼 계획이다.
법적근거는 마련됐지만 여전히 정부 차원의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미비하고 녹지비율 확대 등 준산업단지 지정요건도 까다로워 서산시의 구상 현실화가 급물살을 타진 못하고 있지만 정부 관계부처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충남도와 서산시는 판단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대중국 수출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토탈이나 아람코 등 세계적인 석유화학기업들이 중국시장을 겨냥해 대산석유화학단지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진입로 개설, 연계도로 확충 등 대산석유화학단지 기반시설 확대를 위해 전방위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