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교육 정상화 일환으로 추진 중인 입학사정관제가 지방없는 사업으로 전락할 판이다.

올해에만 200여억 원이 투입되는 정부의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에 전국 지방대들이 대거 탈락, 서울권 대학 위주의 정책이란 지적을 사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009년 입학사정관 지원사업에 신청한 전국 30개 대학 중 15곳을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으로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교과부에 따르면 이번에 선정된 대학은 소규모 특성화 대학인 가톨릭대, 울산과기대, 카이스트, 포스텍, 한동대 총 5곳과 대규모 종합대학 10곳(건국대,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이다.

이번 지원사업에서 소규모 특성화 대학을 제외하고 충남대를 비롯한 전국 지방대는 모두 줄줄이 탈락했다.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은 대학 입시에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려는 의지가 크고 도입 여건이 우수한 대학을 말한다.

교과부는 “지난해 입학사정관제 활용 실적 및 올해 계획, 특히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과 입학사정관의 전형 참여도 등을 주요 평가기준으로 해 신청 대학들을 심사했다”고 설명했다. 또 선정된 대학들에 대해 올해 입학사정관 지원사업 예산 총 236억 가운데 상당액을 집중 배분함으로써 입학사정관제 우수 사례가 타 대학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교과부는 덧붙였다.

이에 대해 지역의 모 대학 관계자는 “입학사정관제가 일부 특정 대학들의 전유물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지방대의 여건도 고려돼야 한다”며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사업 등 지방대들이 정부의 각종 대학지원사업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현실을 고려할 때 지방대에 대한 정책적 안배가 아쉬울 따름”이라고 토로했다.

서이석 기자 ab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