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산 대사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설계용역비 15억 원을 마련하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다.
당초 대전시는 중구 보문산 대사천을 서울 청계천처럼 생태하천으로 복원, 시민 친수공간으로 조성코자 국비 250억 원과 지방비 250억 원 등 총 50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오는 2012년까지 복원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었으나 올해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실시설계 등 평가용역에 소요될 재원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내년부터 지원될 국비지원을 무작정 기다릴 수 없는 상황이어서 중구는 총 15억 원에 이르는 설계용역비 마련을 위해 지난 5일 공문을 통해 시에 용역비 충당액을 특별교부금으로 신청했으나 현재까지 확답은 없는 상태다.
시비 지원이 어려울 경우 구는 추경예산을 편성,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용역에 필요한 발주 최소 금액 7억 원을 마련한다는 방침이지만 자금난을 겪고 있는 구 재정상태로는 이조차도 요원하다.
시 관계자는 “현재 예산담당부서에서 긍정적으로 교부금 신청을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 확정된 사항은 없다”며 “지방비 부담분 250억 원에 대해 50대 50으로 나누는 것을 기본으로 자치단체 재정상태를 감안 조정을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을 지원하는 환경부도 올해 사업 관련 예산에 대해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알아서 해결하라”는 입장이어서 보문산 생태하천 복원사업 정상추진을 위해선 시와 구가 해법을 찾아내야만 하는 상황이다.
사업 평가용역의 경우 용역기간만 1년이 소요되므로 용역 발주만 할 수 있다면 내년 국비지원 등을 통해 전체 사업은 무리없이 추진할 수 있다는 게 시와 구의 설명이지만 초기 재원마련에서부터 고비를 맞고 있는 이번 사업이 제대로 진행될 수 있을지에 대해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총 2.2㎞에 이르는 대사동 대사천 복원사업이 정상적으로 완공될 경우 ‘추억의 보문산, 다시 찾는 보문산 공원’사업과 연계, 하천과 어우러진 보문산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
당초 대전시는 중구 보문산 대사천을 서울 청계천처럼 생태하천으로 복원, 시민 친수공간으로 조성코자 국비 250억 원과 지방비 250억 원 등 총 50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오는 2012년까지 복원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었으나 올해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실시설계 등 평가용역에 소요될 재원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내년부터 지원될 국비지원을 무작정 기다릴 수 없는 상황이어서 중구는 총 15억 원에 이르는 설계용역비 마련을 위해 지난 5일 공문을 통해 시에 용역비 충당액을 특별교부금으로 신청했으나 현재까지 확답은 없는 상태다.
시비 지원이 어려울 경우 구는 추경예산을 편성,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용역에 필요한 발주 최소 금액 7억 원을 마련한다는 방침이지만 자금난을 겪고 있는 구 재정상태로는 이조차도 요원하다.
시 관계자는 “현재 예산담당부서에서 긍정적으로 교부금 신청을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 확정된 사항은 없다”며 “지방비 부담분 250억 원에 대해 50대 50으로 나누는 것을 기본으로 자치단체 재정상태를 감안 조정을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을 지원하는 환경부도 올해 사업 관련 예산에 대해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알아서 해결하라”는 입장이어서 보문산 생태하천 복원사업 정상추진을 위해선 시와 구가 해법을 찾아내야만 하는 상황이다.
사업 평가용역의 경우 용역기간만 1년이 소요되므로 용역 발주만 할 수 있다면 내년 국비지원 등을 통해 전체 사업은 무리없이 추진할 수 있다는 게 시와 구의 설명이지만 초기 재원마련에서부터 고비를 맞고 있는 이번 사업이 제대로 진행될 수 있을지에 대해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총 2.2㎞에 이르는 대사동 대사천 복원사업이 정상적으로 완공될 경우 ‘추억의 보문산, 다시 찾는 보문산 공원’사업과 연계, 하천과 어우러진 보문산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황의장 기자 tpr11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