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이 지난 15일 방미에 앞선 이명박 대통령의 “대증요법보다는 근원적 처방이 필요하다”는 언급을 놓고 개헌론과 연결지으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후 개헌론에 대한 논의 필요성을 밝힌 바 있으나 이 대통령의 이번 발언에 대해선 상반된 해석을 내리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은 이 대통령의 언급에 대해 원론적인 반응을 보이면서도 개헌논의의 필요성에 대해선 적극적인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만약 이 대통령이 개헌 카드를 꺼낼 경우 이는 ‘서거정국 탈피용’이라는 데 초점을 맞추고 경계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한나라당 한 고위 당직자는 16일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이 생각하는 근원적 처방에 대해) 구체적인 것은 알 수 없지만 개헌은 아니지 않겠냐”면서도 “노 전 대통령의 서거가 말해주듯 이제는 우리도 개헌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도 최근 개헌과 관련 “7월 17일 제헌절쯤 어차피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라며 “4년 중임제보다는 대통령 권한 배분이 수월한 유럽형 이원집정부제에 더 찬성한다”고 밝힌 바있다.

반면 민주당은 이 대통령의 언급이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현 정부에 불리하게 돌아가는 정국을 반전시키기 위한 정략적 판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민주당 박병석 정책위의장은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논의의 필요성은 있지만 적어도 지금은 아니다”라며 “정부나 한나라당이 이 문제를 집중 제기하는 것은 최근 어려운 국면을 타개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에 불구하다는 비평을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유선진당은 이 같은 개헌론 제기 가능성에 대해 일단 반기는 분위기다. 선진당 류근찬 원내대표는 “이 대통령이 귀국 후 개헌을 언급할 수도 있고, 중대선거구제 도입을 제기할 수도 있다”며 “선진당으로선 권력구조 개편뿐만 아니라 국가 대개조를 할 수 있는 방안이라면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