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가 시내버스 업체 수입금 횡령 의혹에 대해 경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참여자치시민연대는 “시내버스 업체 직원이 수입금 일부를 빼돌렸다는 의혹이 사실이라면, 시내버스 준공영제 지도관리감독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전시가 시내버스 수입금에 대한 관리감독 권한을 소홀히 했음이 확인된 것”이라며 “이는 특정업체뿐만 아니라, 다른 시내버스 업체에서도 관행적으로 이루어졌을 개연성이 크다는 점에서 경찰 및 시의 한점 의혹 없는 실태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이어 “시내버스 운송수익금 확인요원이 현장에 배치되고 있는 가운데도 이런 횡령의혹이 발생한 것은 그동안 의혹으로만 제기되었던 운송수익금에 대한 확인 인력의 태만과 대전시의 지도관리감독 권한의 부실이 빚어낸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버스업체의 부도덕한 행태는 준공영제 이후 버스업계에 적지 않은 시민혈세가 부당하게 지원되고 있다는 세간의 의혹이 사실로 밝혀진 것은 물론, 시내버스 개혁을 위한 그동안의 사회적 노력에 역행한다는 점에서 심히 규탄 받아 마땅하다”며 한점 의혹 없는 수사와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한편 대전시와 이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버스업체 직원의 단순 요금절취사건으로 보기보다는 버스업체의 상습적인 행위 또는 조직적인 개입이 있었는지 여부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유효상 기자 yreporter@cctoday.co.kr
참여자치시민연대는 “시내버스 업체 직원이 수입금 일부를 빼돌렸다는 의혹이 사실이라면, 시내버스 준공영제 지도관리감독 권한을 가지고 있는 대전시가 시내버스 수입금에 대한 관리감독 권한을 소홀히 했음이 확인된 것”이라며 “이는 특정업체뿐만 아니라, 다른 시내버스 업체에서도 관행적으로 이루어졌을 개연성이 크다는 점에서 경찰 및 시의 한점 의혹 없는 실태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이어 “시내버스 운송수익금 확인요원이 현장에 배치되고 있는 가운데도 이런 횡령의혹이 발생한 것은 그동안 의혹으로만 제기되었던 운송수익금에 대한 확인 인력의 태만과 대전시의 지도관리감독 권한의 부실이 빚어낸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버스업체의 부도덕한 행태는 준공영제 이후 버스업계에 적지 않은 시민혈세가 부당하게 지원되고 있다는 세간의 의혹이 사실로 밝혀진 것은 물론, 시내버스 개혁을 위한 그동안의 사회적 노력에 역행한다는 점에서 심히 규탄 받아 마땅하다”며 한점 의혹 없는 수사와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한편 대전시와 이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버스업체 직원의 단순 요금절취사건으로 보기보다는 버스업체의 상습적인 행위 또는 조직적인 개입이 있었는지 여부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유효상 기자 yreport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