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대전시의회 후반기 원구성을 둘러싼 장기 파행의 책임을 물어 소속 시의원 16명 전원에게 중징계를 내렸다. ▶관련기사 3면
김남욱 전 의장은 제명 처리됐고, 이상태·김태훈 의원은 탈당 권유조치가 내려졌다. 이 의원과 김 의원은 10일 이내에 자진탈당을 안 하면 자동제명되는 만큼, 출당조치를 받은 의원은 사실상 3명에 달하는 셈이다. 또 김영관·김학원·곽영교·박수범 의원은 6개월간 당원자격(당원권)이 정지됐으며, 나머지 의원들은 경고처분을 당했다.
한나라당 대전시당 윤리위원회는 15일 오전 전체 7명의 윤리위원 중 5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5차 윤리위를 열고, 이 같은 처분을 내리기로 결정했다. 대전시당은 징계처분 결과를 이날 중 대상 의원들에게 통보했다. 징계처분에 불복하는 의원은 10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당 윤리위에서 재심의해 징계수위를 최종 결정하게 된다.
![]() |
||
시당 윤리위에 따르면 김 전 의장의 경우 후반기 의장으로 선출돼 시의회를 원만하게 이끌 책무가 있지만 선출 과정에서 발생한 의원 상호 간 대립·갈등을 수습하지 못했으며 결국 시의원들로부터 불신임 처리되는 등 당 발전에 극히 유해한 행위를 하고 당 위신을 크게 훼손했다는 점이 징계사유가 됐다.
이상태 의원은 의장선거에 출마했던 당사자로 표결 결과에 승복하지 않은 채 김남욱 의원의 사퇴를 요구하며 당 발전을 저해했다는 이유로, 김태훈 의원은 후반기 의장단 선출 과정에서 감표위원으로 활동하며 비밀투표 원칙을 훼손해 갈등을 야기했다는 이유로 각각 탈당 권유를 받았다.
이 밖에 당원권 6개월 정지된 김영관 의원은 전반기 수장지위에 있었음에도 후반기 갈등국면에서 신중하게 처리하지 못했고 정치적·도의적 책임이 있음에도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지 못한 점 때문에 징계를 받게 됐다.
나경수 시당 윤리위원장은 “이번 징계를 계기로 시의회가 시민들의 뜻을 거스르지 않고 의회 민주주의 원칙이 지켜지는 성숙한 의회가 돼야 한다”며 “이와 함께 실추된 한나라당의 명예가 회복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시의원에 대한 이번 중징계 처분은 내년에 치러지는 6·2지방선거의 후보구도에 파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징계 처분이 내년 선거 출마를 위한 공천 심사 과정을 거쳐야 하는 한나라당 소속 시의원들에게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동영상=허만진 영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