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민주당이 6월 임시국회 개원을 놓고 힘겨루기를 계속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15일 국회법 개정을 통해 임시국회 소집이 자동적으로 이뤄지도록 한다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등 5개항의 요구조건 수용 후 개원협상에 임하겠다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특히 양당은 6월 국회 개원을 위해 3차례 회동을 가졌으나, 이 같은 양당 간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는 등 현격한 인식차를 보이고 있어 국회 개회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이날 국회법상 짝수달에 열리는 임시회 개회는 국회소집 요구가 없어도 당연히 그달 1일에 자동적으로 열리도록 하는 국회법 개정안을 2~3일 내에 제출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요구하는 조건들은 국회에서 충분한 토론을 거쳐 결정하면 된다”며 “특히 검찰수사의 관행 중 시정할 점이 있다면 소관 상임위인 법사위에서 검찰제도개선 특위를 만들어 이것을 논의해 개선하면 된다”고 말했다.
박희태 대표는 이날 열린 고위당정청 협의에서 “민주당은 조문 정국의 반사이익을 좀 더 누려보자는 얄팍한 생각으로 파업을 계속하고 있다”며 “파업이 장기화 될수록 국민들의 지지는 오히려 떨어질 것”이라고 민주당을 압박했다.이에 대해 민주당은 특별검사제 도입과 검찰개혁특위 설치, 국정조사 실시 등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개원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박병석 정책위의장도 이날 “민주당과 한나라당 간극이 워낙 커 당분간 국회 개원이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강래 원내대표 역시 의원총회에서 “몇 차례 회담을 통해 확인한 것은 상황에 대한 인식 격차가 크다는 것”이라며 “한나라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해서도 잘못한 게 없는 데 뭘 사과하느냐는 태도”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 “검찰수사도 정당하다고 하고, 그 과정도 문제가 없다는 것이었다”며 “이를 보면 국민들의 정서와 조문행렬 등이 한나라당의 의식 속에서 다 지워진 것 같다”고 밝혔다.
이처럼 6월 국회가 개원이 당분간 어렵게 되자 민주당은 민주주의와 남북관계, 민생경제 등 3대 위기극복을 위한 현장 위주의 대응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한나라당은 15일 국회법 개정을 통해 임시국회 소집이 자동적으로 이뤄지도록 한다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등 5개항의 요구조건 수용 후 개원협상에 임하겠다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특히 양당은 6월 국회 개원을 위해 3차례 회동을 가졌으나, 이 같은 양당 간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는 등 현격한 인식차를 보이고 있어 국회 개회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이날 국회법상 짝수달에 열리는 임시회 개회는 국회소집 요구가 없어도 당연히 그달 1일에 자동적으로 열리도록 하는 국회법 개정안을 2~3일 내에 제출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요구하는 조건들은 국회에서 충분한 토론을 거쳐 결정하면 된다”며 “특히 검찰수사의 관행 중 시정할 점이 있다면 소관 상임위인 법사위에서 검찰제도개선 특위를 만들어 이것을 논의해 개선하면 된다”고 말했다.
박희태 대표는 이날 열린 고위당정청 협의에서 “민주당은 조문 정국의 반사이익을 좀 더 누려보자는 얄팍한 생각으로 파업을 계속하고 있다”며 “파업이 장기화 될수록 국민들의 지지는 오히려 떨어질 것”이라고 민주당을 압박했다.이에 대해 민주당은 특별검사제 도입과 검찰개혁특위 설치, 국정조사 실시 등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개원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박병석 정책위의장도 이날 “민주당과 한나라당 간극이 워낙 커 당분간 국회 개원이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강래 원내대표 역시 의원총회에서 “몇 차례 회담을 통해 확인한 것은 상황에 대한 인식 격차가 크다는 것”이라며 “한나라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해서도 잘못한 게 없는 데 뭘 사과하느냐는 태도”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 “검찰수사도 정당하다고 하고, 그 과정도 문제가 없다는 것이었다”며 “이를 보면 국민들의 정서와 조문행렬 등이 한나라당의 의식 속에서 다 지워진 것 같다”고 밝혔다.
이처럼 6월 국회가 개원이 당분간 어렵게 되자 민주당은 민주주의와 남북관계, 민생경제 등 3대 위기극복을 위한 현장 위주의 대응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