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그 주인공은 예산군 예산읍 미경풍수지리연구원 김수천(73·사진) 원장.
김 원장은 지난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당시 전국적으로 거세가 일었던 ‘노풍(盧風)’의 원인을 풍수지리학적으로 접근해 보기 위해 2002년 4월 명산풍수지리연구회 회원들과 함께 봉하마을에 있는 노 전 대통령의 부모 묘소를 찾았다.
당시 봉하마을로 관산(觀山)을 다녀온 김 원장은 이후 충남교육사랑회가 2004년 10월 발간한 ‘아름다운 노년을 위하여’라는 책에 노 전 대통령의 부모 묘소를 풍수지리학으로 풀은 한 편의 글을 기고했다.
이 글에서 김 원장은 “노무현 대통령 부모 묘소와 같이 암석입수(巖石入首)가 정돌취기로 되어 있고 감방(坎方·북쪽)이나 계방(癸方·북동쪽)에 우뚝 선 입석(立石)이 있으면 엄청난 힘을 발휘해 대통령이 될 수도 있고 또 대통령이 되었다고 하나 고서(古書)에 감방이나 계방에 우뚝 높이 솟은 바위가 땅 속에 큰 바위와 한 덩어리 된 것이면 가정이 복잡하고 단명(短命)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통령에 당선된 노무현 대통령의 임기가 염려되지만 노무현 대통령이 임기 동안 국정에 헌신해 안으로 나라가 평안하고 밖으로 하늘을 나는 세계적인 대통령이 되어 부강한 나라가 이룩되기를 기원하는 마음이 간절하다”고 기술했다.
노 전 대통령이 투신한 부엉이 바위가 노 전 대통령 부모 묘소 근처의 입석까지 땅 속으로 이어진 점을 풍수지리학을 다루고 있는 고서에 대입한 김 원장이 결과적으로 노 전 대통령의 운명을 예견한 셈이다.
그 누구보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슬프고 안타까운 현실로 받아들이고 있는 김 원장은 “노 전 대통령의 부모 묘소를 풍수지리로 풀어 쓴 글이 자칫 일부 사람들에게 좋지 않게 비춰질까 염려스럽다”며 “마음 깊이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빈다”고 말했다.
한편 예산 출신으로 예산교육장 등을 지낸 김 원장은 교직에서 은퇴한 뒤 풍수지리학을 연구하고 있다.
예산=김동근 기자
dk1hero@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