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중소·벤처기업들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녹색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문이 잇따르고 있다.

녹색산업이나 녹색규제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면 녹색 중소·벤처기업들에게 제공되는 금융지원 혜택에서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고, 생존과도 직결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 3월 세계적 ‘녹색성장’ 기조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2013년까지 환경산업 관련 기술과 환경규제 대응 능력을 갖춘 중소기업 약 1000개를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중소기업청이 파악한 결과, 당시 혁신성 중소기업 1만여 곳 가운데 ‘녹색기업’으로 분류할 만한 업체는 128곳에 불과했다.

현재까지도 기업들의 녹색규제에 대한 이해도는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1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 녹색성장 추진전략 포럼에서 이의훈 KAIST IT경영학과 교수가 국내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발표자료에 따르면 국내외 녹색규제 내용을 잘 아는 기업은 39%였고, 나머지는 보통 수준이거나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사적으로 녹색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한 기업은 15%에 불과했다.

이 같은 분석은 실제 대덕특구 내 중소·벤처기업들에게도 적용된다.

녹색산업을 영위하거나 에너지 효율이 높은 시설을 도입한 중소벤처기업에는 정책자금과 신용보증 지원과정에서 우대한다는 사실을 정확하게 아는 중소·벤처기업들은 10곳 가운데 1곳밖에 되지 않는 등 정부의 녹색산업정책 이해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있다.

또 해외 환경규제에 대한 인지도나 대응력, 구체적인 규제정보를 모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녹색산업 이해도 부족은 최근 신용보증기관 녹색금융자금이 당초 계획보다 두 배가량 확대된 2조 8000억 원으로 늘어난 것에 따라가지 못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어 대덕특구 내 기업들의 녹색산업 이해도를 높이는 설명회 등 장치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