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충남 아산 충무교육원 내에 들어설 예정인 ‘기숙형 공립대안교육지원센터’(Wee School)가 난항을 겪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충남도, 충남도교육청 등 관계기관의 협의를 통해 설립이 확정됐지만 부지선정, 개원시기, 예산확보 등에서 잡음이 일며 본격적인 괘도에 오르는 과정이 순탄치 않은 상황이다.
특히 내년 3월에 개원하겠다는 도의 의지와 달리 도교육청은 충분한 준비를 위해선 최소 1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혀 구체적인 청사진이 마련되기까진 좀 더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도와 도교육청은 지난 4월 교과부와 지자체, 교육청이 30억 원씩 공동투자하는 기숙형 공립대안교육지원센터를 아산 충무교육원 내에 건립할 예정임을 밝혔다.
공립대안교육지원센터는 일선 학교의 ‘친한친구교실’(WeeClass), 지역교육청의 ‘학생생활지원단’(Wee Center)에 이은 위 프로젝트 3단계 사업으로 학교 부적응, 일탈행동 등의 위기학생을 돕기 위한 것이다.
현재 울산에 기숙형 공립대안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남학교 2개가 있지만 현 정부가 역점사업으로 추진 중인 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립되는 공립대안교육지원센터는 충남이 최초다.
도와 도교육청은 공립대안교육지원센터가 문을 열 경우 연간 1600여 명에 이르는 도내 학업중단 위기학생들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설립 추진과정에서 각종 마찰음이 일며 아직까지 지원센터 건립을 위한 정확한 계획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사안은 개원시기.
도는 하루빨리 위기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해 내년 3월 개원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지만 도교육청은 올바른 정착을 위해선 최소 2011년이나 돼야 문을 열 수 있다는 입장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섣부른 추진으로 기존에 설립된 대안교육기관들의 전례를 답습해선 안 된다”며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단순한 건립에 앞서 프로그램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지를 놓고도 이견이 잇따르고 있다.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충무교육원을 살리고자 지원센터를 이곳에 설립하는 것은 위기학생을 구한다는 본래 취지를 퇴색시킨다는 것이다.
도교육계의 한 인사는 “충무교육원은 우수학생들의 리더십 양성을 목표로 운영되는 곳인데 처방이 다른 학생들을 같이 묶어선 안된다”며 “현재 충무교육원에서 실시하는 친친교실, 둥지사랑교실 등의 대안교육 프로그램도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지자체의 지원 예산 30억 원에 대해서도 엇박자가 나오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재 30억 중 25억을 교육청에 지원했고 나머지 5억도 추경에 반영할 예정이라 건립추진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한 반면 도교육청 관계자는 “아직 도에선 지원하겠다는 공문만 전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
교육과학기술부와 충남도, 충남도교육청 등 관계기관의 협의를 통해 설립이 확정됐지만 부지선정, 개원시기, 예산확보 등에서 잡음이 일며 본격적인 괘도에 오르는 과정이 순탄치 않은 상황이다.
특히 내년 3월에 개원하겠다는 도의 의지와 달리 도교육청은 충분한 준비를 위해선 최소 1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혀 구체적인 청사진이 마련되기까진 좀 더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도와 도교육청은 지난 4월 교과부와 지자체, 교육청이 30억 원씩 공동투자하는 기숙형 공립대안교육지원센터를 아산 충무교육원 내에 건립할 예정임을 밝혔다.
공립대안교육지원센터는 일선 학교의 ‘친한친구교실’(WeeClass), 지역교육청의 ‘학생생활지원단’(Wee Center)에 이은 위 프로젝트 3단계 사업으로 학교 부적응, 일탈행동 등의 위기학생을 돕기 위한 것이다.
현재 울산에 기숙형 공립대안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남학교 2개가 있지만 현 정부가 역점사업으로 추진 중인 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립되는 공립대안교육지원센터는 충남이 최초다.
도와 도교육청은 공립대안교육지원센터가 문을 열 경우 연간 1600여 명에 이르는 도내 학업중단 위기학생들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설립 추진과정에서 각종 마찰음이 일며 아직까지 지원센터 건립을 위한 정확한 계획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사안은 개원시기.
도는 하루빨리 위기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해 내년 3월 개원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지만 도교육청은 올바른 정착을 위해선 최소 2011년이나 돼야 문을 열 수 있다는 입장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섣부른 추진으로 기존에 설립된 대안교육기관들의 전례를 답습해선 안 된다”며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단순한 건립에 앞서 프로그램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지를 놓고도 이견이 잇따르고 있다.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충무교육원을 살리고자 지원센터를 이곳에 설립하는 것은 위기학생을 구한다는 본래 취지를 퇴색시킨다는 것이다.
도교육계의 한 인사는 “충무교육원은 우수학생들의 리더십 양성을 목표로 운영되는 곳인데 처방이 다른 학생들을 같이 묶어선 안된다”며 “현재 충무교육원에서 실시하는 친친교실, 둥지사랑교실 등의 대안교육 프로그램도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지자체의 지원 예산 30억 원에 대해서도 엇박자가 나오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재 30억 중 25억을 교육청에 지원했고 나머지 5억도 추경에 반영할 예정이라 건립추진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한 반면 도교육청 관계자는 “아직 도에선 지원하겠다는 공문만 전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진창현 기자 jch8010@cctoday.co.kr